인천시가 날로 늘어나고 있는 치매노인을 위한 종합 중·장기관리계획을 세웠다"고 20일 밝혔다.
이는 2015년을 내다보고 치매 조기발견과 보호·관리시설 확충, 치매환자 지원 및 체계적인 치매환자 관리 등에 시가 적극 나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로써 인천지역 치매노인들이 보다 체계적인 시스템을 통해 치매관리와 의료·복지 지원을 받을 전망이다.
◆2015 중·장기계획 추진배경
현재 인천지역 치매노인은 총 1만8000명이다.
그러나 이 가운데 체계적인 관리를 받고 있는 치매노인은 7620명(42%)에 불과, 나머지 1만380명은 제대로 된 관리를 받지 못한 채 사각지대에 놓여있는 상태다.
또 이들이 치매 치료와 간병에 쓰는 돈만 연간 1110억원에 달하고 있다. 쉽게 말해 환자 한명이 해마다 617만원의 의료비를 지출하고 있는 셈이다.
특히 가족 해체현상이 확산되고 주로 간병을 맡아온 여성들의 사회진출이 늘어나면서 치매환자를 돌보기 어렵거나 경제적인 이유로 이를 아예 포기하는 가정이 속출하고 있는 상태다.
이로 인해 시는 올해부터 2015년까지 총 354억원을 투입, 이들을 체계적으로 관리하기 위한 맞춤형 서비스를 제공키로 했다.
시 보건정책과 관계자는 “해마다 치매 유병률이 증가하면서 2015년이 되면 치매환자가 2만4000명 가까이 늘어날 것으로 보고 있다”며 “치매환자를 개인 문제로 보기보단 의료·사회복지 측면에서 접근할 필요가 있어 이같은 계획을 세웠다”고 말했다.
◆세부 추진계획
시는 우선 치매 조기발견과 예방활동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에 따라 시는 현재 치매 조기검진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6개 보건소를 2015년까지 10개로 확대하고, 66세 노인들의 생애전환기 건강검진과 70세와 74세 노인들의 일반건강 검진시 치매선별 검사를 의무적으로 받도록 할 예정이다.
또 12곳의 치매환자 주간보호시설(1200명)을 2015년까지 20곳으로 늘리는 한편 올 하반기엔 남구보건소가 담당하는 치매예방관리센터 문을 열 계획이다.
특히 시는 현재 운영중인 시립노인치매요양병원과 9월 계양구에 들어설 시립 제2노인치매요양병원 외에 이같은 시립치매병원 2곳을 더 지을 방침이다.
이와 함께 그동안 경제적인 부담에 시달려온 치매환자와 가족들에 대한 약제비와 치매용품도 지원된다.
시는 기초생활수급자와 차상위계층 치매환자들에겐 2010년부터 약제비를 지원하고, 치매주간보호센터에 등록한 재가 치매환자들에게는 치매용품을 지급할 예정이다.
여기에 시는 효과적인 치매관리 인프라 구축을 위해 2010년 치매예방사업지원단을 구성, 인천지역의 치매예방 활동을 벌일 계획이다.
시 관계자는 “이에 앞서 올 하반기에는 노인복지시설과 종교시설에 전문강사를 초빙해 치매예방 요령 등을 교육할 예정이다”며 “치매를 부끄러운 병으로 생각하는 사회 분위기를 없애기 위한 강연회와 홍보활동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이 관계자는 또 “2015 계획이 차질없이 진행되면 사회적 일자리 창출과 복지 사각지대가 없어지고 사회적 비용도 줄일 수 있을 것”이라며 “이달 안으로 보건복지가족부에 사업계획서를 낸 뒤 국비 지원을 요청할 방침이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