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원시가 재정적자, 교사들 사이의 반목 등 보육기능 저하가 우려된다며 이달 말 세류1동 시립어린이집을 폐쇄키로 하자 학부모들과 보육교사들이 ‘시설 폐쇄 반대’ 온·오프라인 서명운동 및 기자회견 등을 통해 거세게 반발하고 있다.
학부모들은 “불과 20여일의 시간을 주고 폐쇄를 통보하는 것이 말이 되냐”며 “2016년까지 10곳의 시립어린이집을 늘린다는 시장 공약은 어디로 가고 오히려 관할지역에서 유일한 시립 영유아전담시설을 폐쇄하느냐”고 목소리를 높였다.
하지만 학부모들과 보육교사들의 이같은 주장에도 불구, 시는 폐쇄 결정을 고수하겠다는 입장이어서 양측의 갈등 해소가 좀처럼 이뤄지지 않을 전망이다.
◆폐쇄 결정된 세류1동 어린이집
수원시 권선구 세류1동에 위치한 시립어린이집은 지난 2003년 관할지역 유일의 영유아전담시설로 운영이 시작됐다.
민간시설과 달리 분유, 이유식이 무료로 제공돼 기본 보육료 외에는 추가부담이 없다 보니 세류1동 어린이집은 직장을 가지고 있는 학부모들로부터 인기를 끌었다.
8년여간 원만하게 운영돼 왔던 이 시설은 지난 2008년 원장이 어린이집 교사 2명을 아동폭력 혐의로 고발해 경찰 수사가 진행되면서부터 갈등을 키워왔다.
경찰 수사결과 이들 교사는 무혐의 판정을 받았지만 원장과 교사들간의 갈등은 교사들이 노동부에 체불임금 진정제기를 하면서 극에 달했다.
이런 가운데 이 시설은 정원 48명 가운데 36명(정원대비 현원 75%)이 모집이 돼 매달 400만~500만원의 만성적인 적자에 시달렸다.
또 2011년까지 재개발도 예정돼 있어 늦어져 올 12월에는 시설을 비워줘야 한다.
시는 지난달 말 시 보육정책위원회에서 세류1동어린이집 폐쇄를 결정, 지난 8일 학부모들에게 이같은 사실을 통보했다.
◆市, “적자 운영·교사 반목, 시설운영 폐쇄는 불가피”
수원시는 세류1동 어린이집이 매달 400만~500만원의 적자운영을 해 왔고 교사들간의 반목이 심해 더이상 시설을 운영하는 것은 무리가 있다고 판단, 폐쇄를 결정했다.
또 보상이 진행중인 지역 재개발 공사에 들어가면 먼지와 소음 등으로 보육환경이 저하될 수 밖에 없고 시설을 맡겠다는 원장도 없어 무리하게 시설을 운영해 갈 이유가 없다는 입장이다.
시의 한 관계자는 “어린이집 교사들이 민주노총에 가입하면서부터 갈등이 심화됐다”며 “시설 폐쇄의 직접적인 원인은 적자운영, 재개발공사 보다도 일부 교사들과 원장과의 갈등 때문으로 알고 있다”고 전했다.
시는 이달말 세류1동 어린이집 폐쇄는 고수한다는 방침이다.
대신 버드내 어린이집, 세류어린이집 등 인근 시립어린이집의 정원을 늘려 세류1동 원아들을 수용할 계획이다.
◆학부모·교사, “시설 폐쇄 이유는 핑계에 불과”
이 시설에 자녀를 맡긴 학부모들과 보육교사는 시설운영적자, 재개발, 교사간의 갈등 등을 이유로 시설을 폐쇄하는 조치를 납득할 수 없다는 입장이다.
시립어린이집은 수익을 내기 위한 시설이 아니라 보육, 교육을 담당하는 시설이기 때문에 적자가 폐쇄의 직접적인 원인이 될 수는 없다는 것이다.
이들은 “재개발 역시 건물 철거시 발생하는 소음, 분진 등으로 보육환경 저해가 우려됐다면 당초 원아를 모집하지 않았다거나 임시로 운영할 이전시설을 마련했어야 하는 것 아니냐”며 “학부모, 교사들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탁상행정”이라고 비난했다.
또 “원아 폭행, 교사와 원장간의 갈등 등 역시 사건이 해결됐고 새로 취임한 원장 역시 모두 알고 있던 사실을 알고 위탁을 받았기 때문에 이를 이유로 폐쇄를 고수하는 것은 시의 핑계에 불과하다”고 주장했다.
학부모들은 또 시장의 공약사항과는 다른 행정에 대해서도 비난을 가했다.
7개월된 자녀를 맡긴 학부모 임모씨(37·여)는 “김용서 시장이 2016년까지 시립어린이집 10곳을 추가로 신설한다고 해 놓고 정작 운영하고 있는 시설의 문을 닫는 것은 모순”이라고 지적했다.
교사 A씨(29) 역시 “20일만에 백수가 될 위기에 처했다”며 “경제불황으로 지자체들이 일자리 만들기에 총력을다하고 있는데 수원시는 반대로 일자리를 빼앗고 있다”고 토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