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상곤 경기도교육감 취임 20여일이 지나면서 경기도교육청 직원들의 복지부동이 극에 달하고 있다는 비난이 일고 있다.
25일 도교육계에 따르면 교육 수장이 바뀌면서 교육청 직원들간 업무혼선과 함께 눈치보기가 만연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는 최근 일부 언론들의 비판적 기사가 게재되자 윗선(?)에서 대언론 취재창구를 공보실로 제한해 추진하라는 지시가 내려지면서 일어나고 있는 현상이다.
때문에 일부 과에서는 과장, 계장급 인사들이 각종 주요 교육 업무 추진상황에 대해 소신있게 대처하지 못하고 여론 환기도 망설이는 등 복지부동 자세를 취하고 있다.
김상곤 교육감은 이달 6일 취임사를 통해 “그동안의 경기교육 진행과정에서 빚어진 문제와 한계 등을 종합적으로 검토, 더욱 미래지향적인 교육으로 진화시켜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었다.
특히 경기교육의 새로운 페러다임으로 ‘참여와 소통의 교육문화’ 정착 추진을 약속했다.
학교와 교사들이 천편일률적인 지시나 행정적 절차에 따라 움직이는 것이 아니라 스스로의 지성과 자율의 힘으로 움직이는 학교문화가 필요함을 역설한 대목이다.
그러나 참여와 소통을 강조하며 민주적 교육 체제로 발전시켜 나가겠다고 약속했던 것과 달리 20여일 만에 공무원 복지부동을 요구하고 나서 빈축을 사고 있다.
도교육청 비서실 관계자는 “과장이나 계장 전결도 나지 않은 각종 사안들이 외부에 알려져 업무에 혼선을 빚을 수 있어 대언론 창구를 공보실로 제한하도록 한 것”이라고 말했다.
반면 많은 직원들은 “민주진보 진영 인사가 교육계 수장이 돼 업무의 효율화 등이 기대됐으나 오히려 직원간 눈치 보기를 조장하는 등 실망스럽다”는 반응을 보이고 있다.
한편 도 교육계 내에서는 “내년 6월 선거를 앞두고 조기에 성과를 내야 한다는 조급증이 많은 시행착오를 양산하는 원인이 아니겠느냐”며 앞으로 추진될 경기교육 정책에 우려를 표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