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안상수,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는 1일 6월 임시국회 소집 시기와 운영 방안을 놓고 논의했지만 이견을 좁히지 못한 채 기존의 시각차만 재확인했다.
안 원내대표는 오는 8일 임시국회를 소집할 것을 제안했지만, 이 원내대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와 관련해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와 특검 및 진상조사 등을 요구해 합의점을 찾지 못했다.
이 원내대표는 국회 민주당 원내대표실에서 가진 첫 양당 원내대표 상견례에서 “안상수 대표가 강성이라고 하지만 이렇게 먼저 방문해주는 것을 보면 어디에도 강성이란 모습을 찾을 수 없다”며 “저 또한 부드러운 남자가 될지, 강성이 될지는 전적으로 안 대표에게 달려 있다”며 선제공격을 했다.
안 원내대표는 “국무총리가 19일부터 27일까지 OECD 의장국 의장으로써 해외 출장을 가게 돼 있는데 대정부 질문을 하려면 그 기간을 피해달라는 요청이 왔다”며 “8일에 국회 개회를 하면 피할 수 있을 것”이라고 제안했다.
안 원내대표는 이어 “이 원내대표가 그 점을 감안해서 가급적이면 8일부터 국회를 시작해서 모든 현안이 논의되기를 바란다”고 강조했다.
반면 이 원내대표는 “8일에 국회를 개회할 수 있을지 여부는 안 원내대표의 결단에 달렸다”며 “아마 빈손으로 오지는 않았을 것이라고 믿고 8일부터 국회가 열릴 수 있기를 소망한다”고 민주당이 제시한 ‘조건’을 수용해줄 것을 요구했다.
그는 이어 “다른 어떤 것보다 노 전 대통령을 서거에 이르게 한 경위에 대한 진상조사가 필요하고 분명한 책임 관계가 필요하다”며 “그런 결연한 차원에서 이번 6월 국회에 임하려고 한다”고 덧붙였다.
이 원내대표는 회동을 마친 뒤 “한나라당이 귀(耳)만 가져왔다”며 한나라당이 민주당의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개원 대책을 마련해야 할 것임을 시사했다.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로 연기됐던 한나라당과 민주당의 원내대표단의 첫 상견례가 이견 차만 확인하는 것으로 끝나면서 향후 국회운행은 순탄치 않을 전망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