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문 정국'의 여파로 6월 임시국회 개회도 차질을 빚고 있다.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는 3일 6월 임시국회는 정략적 협상의 대상이 될 수 없다 주장한 반면,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는 6월 임시국회 성공 여부는 정부와 여당의 태도에 달려있다고 주장했다.
한나라당은 시급히 쌓여있는 경제살리기 법안과 민생법안의 6월 임시국회 처리를 촉구한 반면, 민주당은 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에 대한 책임을 지고 이명박 대통령의 사과와 관련자 처벌이 전제돼야 6월 임시국회가 성공할 수 있다고 주장하고 나선 것이다.
안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3당 원내대표의 김형오 국회의장 예방 자리에서 “안보 위협과 경제살리기 민생 법안 등 처리해야 할 것이 너무 많다”며 “빨리 국회를 열어 이러한 법안들을 먼저 처리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안 원내대표는 “국회법에 따르면 원래 지난 1일부터 국회를 열었어야 하는데 국민장으로 (개원이) 이미 지연됐다”며 “8일에 국회를 개원하자”고 거듭 제의했다.
안 원내대표는 특히 “민주당이 내건 노 전 대통령 서거 관련 요구안들은 청와대와 정부가 처리해야 할 문제들”이라며 “국회 개원 조건으로 내거는 것은 옳지 않다”고 지적했다.
이에 대해 이 원내대표는 “국민들도 노 전 대통령 서거 관련 문제가 중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는데 한나라당과 정부는 이것을 야당의 정치공세로 인식하는 것 같다”며 “이러한 태도는 (곤란하다)”고 맞대응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