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와대는3일 임채진 검찰총장의 사의 표명과 관련 “검찰 총수로서 그동안 겪었을 인간적 고뇌는 충분히 이해하지만 수사가 마무리될 때 까지 자리를 지켜주는 게 온당한 일이라 생각해 만류 중”이라고 밝혔다.
이동관 청와대 대변인은 이날 브리핑을 통해 “검찰총수로서 그동안 겪었을 인간적 고뇌는 충분히 이해한다”면서 “그러나 선공후사(先公後私)라는 옛말처럼 공인에게는 사(私)가 없는 것”이라며 이같이 말했다.
이 대변인은 또 “최근 검찰의 수사책임론과 관련해서 여러 가지 주장과 논란이 있는데 검찰수사는 여론이 아니고 법의 잣대로 하는 것”이라며 “더욱이 공직 부패나 권력형 비리에 대한 척결의 노력은 어떤 경우에도 흔들려서는 안 된다”고 강조했다.
그는 이어 “대통령도 법아래 있는 것”이라며 “그래서 이명박 대통령이 당선자 시절에 허무맹랑한 흑색선전으로 밝혀졌지만 BBK 특검을 수용해 검찰 수사를 받은 게 아닌가. 본(本)과 말(末)을 혼동해서는 안된다”고 말했다.
아울러 그는 “김경한 법무부장관도 지난 번 임 총장이 사의표명을 했을 즈음 대통령실장을 통해 구두로 사의표명을 했으나 대통령님 지시로 반려한 바 있다”밝혔다.
한편 임 총장은 이날 오전 사퇴의 변을 통해 “최선을 다했음에도 불구하고 상상할 수 없는 변고로 인해 많은 국민들을 슬프게 하는 결과를 초래했다”면서 “국민들께 죄송하다”고 사퇴 의사를 밝혔다.
그는 “이번 사건 수사를 총 지휘한 검찰총장으로써 진심으로 국민들께 사죄드린다”며 “원칙과 정도, 절제와 품격에 따른 바른 수사, 정치적 편파수사 논란이 없는 공정한 수사를 통해 국민의 신뢰를 한 단계 높이려 최선을 다했으나 역부족 이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