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나라, 소통 없는 연찬회…내홍 깊어질 듯

김부삼 기자  2009.06.04 20:06:06

기사프린트

한나라당 내 양대 계파인 친이계와 친박계가 지도부 사퇴론을 비롯한 여권 쇄신 방안을 놓고 뚜려한 시각차를 보이고 있다.
친박계는 지도부 사퇴와 조기 전당대회 개최에 대해 부정적인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는 지도부 사퇴론을 이재오 전 최고위원을 비롯한 친이계 친위 세력의 당권 장악을 위한 수순으로 보는 시각이 강하기 때문인 것으로 분석된다.
반면 친이계는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 이후 급락한 지지율을 만회하고 당 내 화합을 위해서는 지도부 사퇴와 함께 조기 전당대회가 불가피하다고 반박했다.
친박계 이성헌 의원은 4일 과천 중앙공무원 연수원에서 열린 국회의원 연찬회에서 기자들과 만나 “집권당이 집권당 역할을 못하고 있는 문제에 대한 대책이 시급하다”며 “전당대회 통해서 사람을 바꾼다고 달라질 문제가 아니다”라고 말해 지도부 사퇴와 조기 전당대회에 대해 반대 입장을 분명히 했다.
이 의원은 “조기 전당대회는 해야 될 이유도 없고 이뤄지지 않을 것이며 지도부를 바꾸는 것도 능사는 아니다”라고 강조했다.
반면, 친이계 공성진 최고위원은 “집단 체제이기 때문에 대표만 사퇴하는 것은 의미가 없고 땜질용일 뿐이다. 박희태 대표만 사퇴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며 박 대표와 최고위원들을 포함한 지도부 총 사퇴를 주장했다.
공 최고위원은 이날 오전 한 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도 친박계가 조기 전당대회에 반대 입장을 보이고 있는데 대해 “그런 시각을 갖고 있기 때문에 안타깝다”며 “그것은 정략적 시각”이라고 말했다.
양 측은 이상득 의원의 ‘2선 퇴진’ 선언에 대해서도 극명하게 엇갈린 입장을 나타냈다.
이 의원은 “정상적 쇄신이라 생각하지 않는다”며 “서둘러 조기 전당대회를 하고 퇴진하는 식의 접근으로는 해결책이 없다”고 밝혔다. 이에 반해 공 최고위원은 “결단을 잘 내렸다고 받아들인다”며 “결국은 대통령의 형이라는 정치적 위상 때문에 그분의 언행이 예민하게 받아들여진 것도 사실이고 오해의 소지가 있었던 것도 사실”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