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춘선 복선전철 시발역(출발역)문제가 국회로 옮겨져 해결 실마리를 풀게 됐다.
2010년 경춘선복선전철 개통을 앞두고 시발역을 놓고 정부와 가평, 춘천, 동대문구, 남양주시 등 4개 지자체가 갈등을 빚고 있는 가운데 해결방안을 모색하기위한 간담회가 5일 국회의원회관 131호 회의실에서 개최됐다.
국토해양부에서 추진하고 있는 경춘선복선전철 시발역(출발역)을 신상봉역으로 결정하려는데 따른 합리적인 방안을 찾기 위한 이날 간담회에서 장광근 의원(한나라당 동대문구 갑)은 “신상봉역에서 출발할 경우 가평 등 경기 동북부권 주민들이 서울 도심에 들어오기 위해 환승해야 하는 불편이 있고 일대 교통도 혼잡해진다”고 지적했다.
그러면서 현대식 복합역사로 최적의 조건을 갖춘 청량리역이나 용산역으로 출발역을 바꿔야 한다고 역설해 가평, 남양주ㆍ춘천시ㆍ동대문구청의 주장에 힘을 실었다.
장 의원은 “경춘선 복선전철 최대의 수혜자인 가평, 춘천, 남양주자치단체와 주민들이 강력하게 반발하고 있는 것은 시발역에 대한 문제점을 보여주는 것”이라며 “주민이 원하는 방향으로 정책을 결정하는 것이 정부의 역할이라며 시발역 변경”을 주장했다.
교통정책을 총괄하는 국토해양부 교통정책실장은 “시발역 변경은 열차가 안전하게 운행할 수 있도록 선로의 높낮이 등을 조정해야하는 단차조정 등 기술적인 면이 해결돼야 한다”며 이를 위한 예산확보가 이뤄져야 한다고 설명하고 시발역 변경을 위한 국회차원의 예산협조를 요청했다.
이에 대해 장광근 의원은 “시발역 변경에 필요한 740억원의 사업비는 국무총리와 국회의원들과 협의를 통해 해결토록 하겠다”고 말하고 “정부고위관료가 간담회에서 시발역 변경을 긍정적으로 검토하겠다”는 답변은 매우 이례적이라고 높이 평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