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원내대표는 9일 ‘6월 임시국회’ 쟁점 법안인 비정규직법 처리 방안을 두고 서로 다른 시각차를 확인하는 치열한 공방을 펼쳤다.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와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는 이날 서울 프레스센터에서 열린 관훈클럽 초청 여야 원내대표 토론회에 나란히 토론자로 참석해 설전을 벌였다.
안 원내대표는 “세계적 경제위기 속에 일할 수 있는 것만으로도 행복하다는 회사들이 많다”며 “회사가 살아야 비정규직도 일할 수 있다”고 운을 떼었다.
안 원내대표는 “비정규직이라도 좋으니 빨리 법을 통과시켜달라는 노동자와 법이 통과되지 않아 비정규직 직원을 해고시킬 수 밖에 없다는 현장의 목소리가 들린다”며 “어떻게 이를 외면할 수 있겠는가”고 반문했다.
안 원내대표는 “정부가 돈이 있다면 비정규직을 정규직으로 전환해 주면 좋겠지만 1000억원 정도 지원 자금으로는 어림없다”며 “우선 기업이 살아야 하지 않겠나. 기간을 2년에서 4년으로 유예하면 경제가 나아지지 않을까 한다”고 피력했다.
이에 대해 이 원내대표는 “정부는 도저히 노동계에서 받아들일 수 없는 제안을 했다”며 “미봉책일 뿐이다”고 질타했다.
이 원내대표는 “정부 안대로 하면 정규직조차 무너질 우려가 있다”며 “근본적으로 지원책으로 바꿔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 원내대표는 특히 “한나라당은 이제까지 정부 안에 대한 당론조차 확정하지 못하고 있다가 어제 2년으로 할 지, 4년으로 할 지 방식을 갖고 논의한 것에 불과하다”며 “아무 대책도 없다가 야당이 찬성하지 않기 때문에 문제 있다고 공세를 펴는 것은 정부가 끌고 가는 주체가 무엇인지 궁금하게 한다”고 비난했다.
이 원내대표는 이어 “이루는 국회에서 일관된 주장을 해왔고, 추경 때도 1150억원에 달하는 예산을 확보했다”며 “어제 4대강 살리기 사업에 23조가 든다고 하는데, 그 돈을 1년에 1조만 정규직 전환 비용으로 써도 비정규직 문제가 해결될 것”이라고 역설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