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10일 민주당 등 야당과 시민사회단체가 공동으로 주관하는 6·10항쟁 범국민대회 이후 민심의 변화에 촉각을 세우고 있다.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 서거정국에서 보여준 정부여당에 대한 비판적 여론이 6·10항쟁 이후 반정부투쟁으로 격화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기 때문이다.
특히 당·정·청 쇄신작업이 탄력을 잃으면서 좀처럼 반전의 기회를 잡지 못한 상황이라 여권의 긴장감은 어느 때보다 고조되고 있다.
이에 따라 한나라당은 한시적 장외투쟁에 나선 민주당을 직접 겨냥, 6월 국회 개회 지연의 책임을 거론하면서 파상공세를 펼쳤다.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는 “우리가 항쟁의 정신을 이어 받는 것은 좋지만 과거 회귀적인 투쟁일변도로 하는 것은 정말 시대착오적인 것”이라며 “애써 마련된 민주정당을 외면하고 길거리 정치에 몰두하는 민주당의 모습을 보면 딱하기 짝이 없다”고 야당을 비난했다.
박 대표는 이어 “언제 고직적인 가투습성을 버릴 것인지 정말 안타깝다”며 “거리정치의 유혹을 과감히 뿌리칠 때 비로소 6·10항쟁 정신은 빛이 더할 것”이라고 6월 국회 개회 합의를 촉구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도 “(민주당이) 지금 비정규직법을 비롯해 미디어법 등 각종 민생 현안이 산적해있음에도 불구하고 또다시 길거리 정치를 시작하려고 한다”며 “재야세력이 주도하는 장외집회에 전 의원의 동참은 민생경제보다는 사회갈등을 부추겨 정국 주도권을 잡아보겠다는 정략적 형태에 불과하다”고 비판했다.
정몽준 최고위원은 “6·10항쟁 22돌 되는 날 민주주의를 제1야당이 후퇴시키는 길을 선택한 것이 정말 안타깝게 생각한다”며 “지금 민주당은 정치를 통해 사회갈등의 해소가 아니라 사회갈등을 부추기는 악습에 빠지지 않았는지 생각해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한나라당은 6·10 범국민대회와 이어진 6·15선언 기념행사 등으로 야당이 당분간 원내보다 장외에 관심을 가질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6월 국회 개회 협상도 지연될 가능성에 우려하고 있다.
당 핵심 관계자는 “민주당이 6·10항쟁과 6·15선언 등의 일정을 이유로 협상 테이블에 나오지 않을 가능성이 높다”며 “협상이 진행되더라도 주말부터 가능할 것”이라고 예측했다.
그는 또 “6·10 범국민대회 이후 민심의 변화에 따라 6월 국회에서 야당의 협상력은 달라질 것”이라며 “그러나 노 전 대통령 추모정국이 다소 가라앉는 분위기를 감안하면 큰 변화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