노무현 전 대통령 변호를 맡은 문재인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12일 검찰의 ‘박연차 게이트’수사결과 발표와 관련 “이미 고인이 된 전직 대통령을 두번 욕보이는 행태에 분노를 느끼지 않을 수 없다”고 반발했다.
문 전 실장, 전해철 전 민정수석, 김진국 전 법무비서관 등 변호인단은 12일 홈페이지에 띄운 글에서 “검찰이 박연차 전 태광실업 회장이 노 전 대통령측에 640만 달러의 포괄적 뇌물을 공여한 피의사실이 인정된다”고 밝힌 부분에 대해 “노 전 대통령에 대한 혐의사실을 인정할 수 없다”며 이같이 밝혔다.
변호인단은 “검찰은 단 한마디 사과도 없이 책임회피와 자기변명으로 일관하고 있다”며 “국민이 알고 싶어하는 진실은 검찰이 누구의 지시로, 어떤 목적으로 왜 ‘정치적 기획수사’, ‘짜맞추기 표적수사’를 했느냐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민주당 김유정 대변인도 이날 브리핑에서 “표적·보복수사가 아니었다는 검찰의 치졸한 변명과 살아있는 권력에 하염없이 작아지는 비겁한 검찰, 전직 대통령을 죽음으로 몰아놓고도 여전히 반성없는 검찰의 모습에 절망감을 느낀다”고 목청을 높였다.
김 대변인은 “검찰은 정당함을 주장하지만 부당한 표적수사였다는 양심의 소리마저 외면하기는 어려울 것”이라며 “법무장관과 대검 중수부장을 즉각 파면해야 한다”고 촉구하고, 검찰 수사에 대한 국회 국정조사 및 박연차, 천신일에 대한 특검 도입 입장을 주장했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의원은 검찰이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수사결과를 공개하지 않은 점을 집중 거론하면서 “예상했던 대로 용두사미이자, 농락을 당한 기분”이라며 “3류 드라마도 이렇게 막을 내리지 않는다”고 비판했다.
반면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권력형 부패 근절을 향한 검찰의 지난한노력이 앞으로 이런 사건의 재발을 막는데 큰 역할을 할 것”이라며 “지도층부터 사회의 모범이 돼야 한다는 교훈을 줬다”고 평가했다.
그는 “다만 검찰은 다시는 노 전 대통령 서거와 같은 불행한 일이 반복되지 않도록 (이번 수사를)성찰하는 계기로 삼아야 할 것”이라고 주문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