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3일 북한이 외무성 성명을 통해 유엔 안보리 결의 1874호를 규탄하고 절대로 핵을 포기할 수 없다면서 새로 추출되는 플루토늄 전량의 무기화와 우라늄농축 작업 착수 등을 선언한데 대해 “엄중하게 대응 하겠다”고 밝혔다.
외교통상부 문태영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북한 외무성 성명에 포함된 핵 불포기 언급과 도발적 조치는 비핵화와 동북아 지역 평화와 안정을 위한 국제사회의 결연한 의지에 정면 도전하겠다는 것으로 결코 용납될 수 없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정부는 “국제사회와 함께 북한의 플루토늄뿐만 아니라 우라늄농축 프로그램에 대해서도 엄중하게 다루어 나갈 것”이라며 “북한이 모든 핵무기 프로그램을 폐기하고 조속히 6자회담에 복귀해 진정한 의미의 비핵화를 이루어 나갈 것을 다시한번 강력히 촉구한다”고 밝혔다.
이와 함께 정부는 “북한의 핵보유를 결코 용납하지 않는다는 확고한 원칙하에 관련국들과 긴밀히 협력해 북한의 계속적인 위협과 도발행위에 대해 단호하고 일관되게 대응해 나갈 것”이라고 덧붙였다.
한편 여야 정당들도 이날 북한 외무성이 유엔의 대북제재결의안에 맞서 우라늄 농축작업 착수 등을 선언한데 대해 비판하고 북한은 유엔 결의를 준수해야 한다고 입을 모았다.
한나라당 윤상현 대변인은 브리핑에서 “유엔 대북결의는 핵을 움켜쥐고 함부로 날뛰는 철부지를 통제하기 위한 국제 사회의 단합된 결의”라며 “북한이 우라늄 농축 작업 착수, 새로 추출한 플루토늄 전량 무기화, 봉쇄시 군사적 대응을 운운하며 협박하는 것은 방귀 뀐 놈이 성을 내는 것”이라고 강하게 비판했다.
민주당 노영민 대변인도 브리핑에서 “북한의 2차 핵실험에 대한 국제사회의 일치된 인식과 대응이 유엔 안보리의 결의안”이라며 “북한은 안보리의 결의를 준수해야 한다”고 밝혔다.
그는 “북한은 더 이상 평화를 위협하는 행위를 중단하고 조속히 6자 회담에 복귀해 비핵화작업 논의에 착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자유선진당 박선영 대변인도 논평을 통해 “우리 정부는 북한이 다시 ‘벼랑끝 전술’을 쓰지 못하도록 다잡아야 한다”면서 “안보리 차원과 별도로 각 나라별로 강력한 대북 제재조치를 하도록 외교력을 발휘해야 한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