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과 민주노동당, 창조한국당, 등 야당은 법무부가 고(故) 노무현 전 대통령의 구속수감을 준비했다는 언론보도와 관련, 의혹을 제기하며 법무부와 검찰의 행태를 강도높게 비판했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19일 법무부의 노무현 전 대통령 구속 시도 의혹을 제기하며 검찰의 ‘표적ㆍ기획수사’에 대한 대통령 사과를 강력히 촉구했다.
정 대표는 이날 확대간부회의에서 노 전 대통령 서거 1주일 전에 법무부 산하 안양교도소가 입감에 대비해 극비리에 독방을 설치하려 했다는 언론 보도를 언급하면서 “이를 보면 이번 수사는 정권에 의해 사전에 치밀하게 준비된 표적수사로 볼 수밖에 없다”고 주장했다.
OBS(경인TV)는 지난 18일 “안양교도소가 노 전 대통령의 구속 입감에 대비해 특별팀(TF)을 구성하고 극비리에 독방을 만들려했던 것으로 취재 결과 드러났다”고 보도했다.
정 대표는 “법무부와 검찰이 소통하고 준비한 것인지 원래 검찰은 구속의사가 없었는데 법무부가 지휘해서 구속하려고 한 것인지 진상은 알 수 없지만 이것은 검찰의 불구속 입장에 대해 법무부가 수사지휘권을 행사해서 구속하려 한 것이 아닌가”라고 의혹을 제기했다.
그는 “이것은 우리와 국민이 믿는 것처럼 노 전 대통령 서거는 정치보복에 의한 것이라는 걸 입증하는 사례”라며 대통령 사과와 국정쇄신을 촉구했다.
민주당 노영민 대변인은 이날 논평을 통해 “노 전 대통령 서거 이후 불구속 수사 운운하던 검찰의 반응은 상황을 호도하려는 의도된 거짓말이었다”며 “전용독방까지 마련한 것은 수사가 정치보복을 위해 치밀하게 준비된 기획수사였음이 명확히 드러난 것으로 검찰은 철저한 자기성찰과 반성으로 정치검찰이라는 오명을 지우길 바란다”고 말했다.
민주노동당 우위영 대변인은 “노 전 대통령의 구속을 대비한 것 아닌가 하는 의혹이 증폭될 수밖에 없다. 법무부가 부정했지만 진실은 언제나 사건현장에 있다”며 “안양교도소에서의 인터뷰가 훨씬 구체적이고 사실적이었다. 청와대가 해명하고 이명박 대통령이 직접 나서서 사죄해야 한다”고 말했다.
창조한국당 김석수 대변인은 “교도소는 ‘6.6㎡ 독방시설 대신 20㎡의 새로운 독방을 만들 계획이었다’는 구체적인 증언 등이 나왔다”며 “논란의 중심에 선 법무부는 정직하게 사건의 전말을 공개함으로 노 전 대통령의 서거로 분노하고 있는 국민의 마음을 위로하고 신뢰회복에 나서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OBS는 18일 안양교도소는 노 전 대통령이 검찰에 출두해 조사를 받은지 보름뒤 보안 관리과의 한 교도관을 팀장으로 5~6명의 TF를 구성했고 보도했다.
교도소에선 6.6㎡의 독방시설로는 노 전 대통령을 수용하기 어려워 20㎡의 새로운 독방을 만들려고 계획했다는 것이다. 이는 노 전 대통령을 불구속 기소하기로 했었다고 밝혀온 검찰의 입장과 배치되는 것이어서 정치권에서는 논란이 가열되고 있는 양상이다.
이에 대해 법무부는 19일 “안양교도소에 사실 관계를 확인한 결과 노무현 전 대통령과 관련해 TF팀을 구성하거나 독방 준비 등을 했다는 사실이 없었다”고 해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