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과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가 20일 청와대에서 만나 한미 동맹관계, 한미FTA, 북핵문제 등 국정 현안을 논의했다.
이 대통령이 여야 대표와 회동한 것은 지난 4월6일 청와대 초청 여야 3당 대표 회담 이후 두 달여 만이다.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노무현 전 대통령에 대한 검찰 수사와 관련해 이 대통령의 사과를 요구하며 참석을 거부했다.
이 대통령과 여야 대표는 이날 오전 10시부터 11시40분까지 배석자 없이 100여분간 한미정상회담 결과와 북핵문제, 국내 국정 현안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에 따르면 이 대통령은 이날 회담에서 “한미 정상회담으로 한미동맹이 더욱 공고해졌다”며 “정상회담에서 한미관계가 미래지향적이고 포괄적인 동맹관계로 발전시키자는데 대한 정상간의 합의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북핵문제와 관련 “이번 한미정상은 5자회담을 강력하게 추진할 방침이지만 북한 핵실험에 대해서는 강한 제재가 필요하다는데 의견이 일치했다”면서 “한미정상은 북한이 최근 유연성을 보이고 있는 만큼 계속 인내심을 갖고 개성공단 협상에 임하기로 의견을 모았다”고 밝혔다.
이 대통령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 “미국이 한미관계가 외교 안보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전반의 동반자 관계, 특히 한미 FTA가 한미간의 미래설계의 초석이 될 것이라는 입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특히 워싱턴 포스트도 사설에서 한미 FTA가 한반도 전략의 차원에서도 조기 진전이 필요하다는 논지를 밝혔다”면서 “특히 오바마 대통령이 후보 시절에는 FTA에 소극적인 입장이었지만 지금은 달라졌다는 것을 감지할 수 있었다”고 강조했다.
이날 회담에서 이 대통령과 여야 대표는 최근 국내 각종 정치 현안에 대해서도 논의한 것으로 전해졌다. 특히 이 대통령이 “대증요법보다 근원적 처방이 필요하다”고 한만큼 ‘근원적 처방’의 내용에 대한 의견 교환이 있지 않았겠느냐는 관측도 나오고 있다.
이 대통령은 이회창 총재가 ‘근원적 처방’에 대해 묻자 “갑자기 생각한 것이 아니라 평소 생각한 것”이라고 답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희태 대표는 또 “대통령이 한미외교와 국내현안에 대해 국민들에게 직접 설명할 기회가 있었으면 좋겠다”고 건의했고 이 총재는 “현재 국내현안과 관련해 국민들에게 양해를 구하고 미래비전을 제시하는 대국민 담화를 발표해야 한다”고 제안했다.
이 대통령은 국회문제에 대해 “국회가 열려 현안들이 빨리 처리되면 좋겠다”고 말했다고 조 대변인이 전했다.
한편 이날 회동에는 한나라당에서 김효재 대표 비서실장과 조윤선 대변인, 선진당에서 임영호 총재 비서실장과 박선영 대변인이 배석했다. 청와대에서는 정정길 대통령실장, 김성환 외교안보수석, 맹형규 정무수석, 이동관 대변인이 자리를 함께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