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명박 대통령은 지난 20일 국정쇄신 방안과 관련해 “장관을 자주 바꾸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개각이 국면 전환용으로 중요하다는 주장에는 동의하지 않는다”고 말해 개각에 부정적인 입장을 보였다.
이 대통령은 이날 청와대 초청 여야 대표 회담에서 “출국 전에 대통령이 언급한 국정쇄신을 위한 근원적인 대책이 무엇인가”라는 자유선진당 이회창 총재의 물음에 이 같이 답했다고 선진당 박선영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인적 쇄신 외에 다른 대책은 무엇인가”라는 이 총재의 질문에 “나중에 밝히겠다”고만 답해 구체적인 언급을 피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 총재가 “노무현 전 대통령 자살 사고 후에 최소한의 유감표명과 국정쇄신을 담은 담화는 필요하다”며 “TV 앞에 대통령이 직접 나와서 설명하고 국정 혼란을 풀어가는 모습을 보여달라”고 주문하자, 이 대통령은 “알겠다”고 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이날 이 대통령과 한나라당 박희태 대표, 이 총재는 국정쇄신 안 외에도 국내외 정치 현안 전반을 논의했다. 세 사람은 오전 10시부터 11시40분까지 100여 분간 한미정상회담 결과와 북핵 문제, 국내 국정 현안에 대해 대화를 나눴다.
이 대통령이 여야 대표와 회동한 것은 지난 4월6일 청와대 초청 여야 3당 대표 회담 이후 두 달여 만이다. 다만 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노무현 전 대통령의 서거에 대한 이 대통령의 대국민 사과를 요구하며 불참했다.
이 대통령은 “이번 한미 정상회담으로 한미동맹이 더욱 공고해졌다”며 “정상회담에서 한미관계가 미래지향적이고 포괄적인 동맹관계로 발전시키자는 데 대한 정상간의 합의가 있었다”고 말했다고 한나라당 조윤선 대변인이 전했다.
이 대통령은 또 북핵 문제와 관련, “한미정상은 5자회담에 관해서도 강력하게 추진할 의사이나 당분간은 북한의 핵실험과 6자회담 파기에 대한 강한 제재를 해야 한다는 데에 의견 일치를 보았다”며 “이번 방미 기간 중에 미국 의회가 북한의 핵개발 및 핵실험에 대해 강력히 규탄하는 결의문을 채택한 것 역시 큰 의미가 있었다”고 설명했다.
이 대통령은 한미 자유무역협정(FTA)과 관련, “미국이 한미관계가 외교 안보뿐만 아니라 경제 사회 전반의 동반자 관계, 특히 한미 FTA가 한미간의 미래설계의 초석이 될 것이라는 입장을 가지고 있음을 확인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