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제계, 자금출처·기업윤리 놓고 논란
대한전선이 국내 기업을 상대로 업종 불문한 문어발식 다각적인 투자를 하고 있어 횡보에 많은 의혹을 낳고 있다. 제조업으로 잔뼈가 굵은 대한전선은 무주리조트를 시작으로 용산선인상가, 진로, 쌍방울 등의 인수에 많은 자금을 투자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일부에서는 대한전선의 이같은 투자방식을 놓고 ‘염불보다 잿밥에 맘이 있다’는 말과 같이 인수 후 기업 경영보다는 차익을 노린 M&A성 기업사냥을 하고 있다는 추측이 나돌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일부 재계는 대한전선의 투자자금출처를 놓고 해외유입설과 차입금에 대한 높은 이자산정 등의 방법으로 마련된 비자금설까지 제기되고 있어 기업윤리를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투기 시발점 무주리조트
대한전선이 국내 기업에 대한 무차별적 자금투자를 하는 것에 대해 두 가지 이론이 나오고 있다. 한 쪽은 전통 산업인 전선업이 향후 비전이 적어 이를 극복하기 위해 사업확장을 시도한다는 부분과 풍부한 자금력을 바탕으로 기업사냥을 하면서 수익을 노린다는 의견이다.
하지만, 업계에서는 전자 보다는 후자 쪽에 무게를 싣고 있어 향후 대한전선의 횡보가 주목된다. 이 같은 횡보는 2002년 무주리조트를 시작으로 대한전선이 기업사냥에 뛰어든 내용들이 상당부분 뒷받침 해주고 있다.
대한전선이 무주리조트를 인수할 당시 무주는 평창과 함께 2010년 동계올림픽 개최지를 놓고 각축전을 벌이고 있는 상황이었다. 당초 무주리조트를 인수할 계획을 세워놓지 않았던 대한전선이 제대로 된 사업성 검토도 없이 1,530억원을 들고 나왔다는 것이 인수에 참여한 관계자의 증언이다.
당시 무주리조트 관계자는 “2000년 자산규모를 8,700억원까지 줄였다”면서 “하지만 무주리조트를 인수하겠다고 나선 기업은 미국의 캐피탈회사인 볼스브릿지 한 곳에 불과했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볼스브릿지의 실사결과 2001년 3,500억원에 계약이 이뤄졌다”면서 “충분한 자금이 없었던 볼스브릿지가 차일피일 계약을 미뤄오다가 2002년 4월 계약파기를 선언하려 하자 급히 대한전선의 자금을 끌어들였다”고 당시 상황을 설명했다. 대한전선은 무주리조트 인수 선언 후 다음달인 5월 자금을 납입하며 인수를 마무리 했다.
“아무리 기업에 돈이 많다고 하더라도 인수결정 이후 두 달도 채 안돼 2,000여억원이라는 막대한 자금을 동원했다는 것을 보고 의아했다”면서 “내가 알기로 당시의 대한전선은 무주리조트에 대해 눈길 한 번 안 줬던 기업인데 황당하더라”라고 이 관계자는 증언했다.
결국 대한전선은 무주리조트에 대한 투자를 위해서라기보다 동계올림픽 프레미엄을 보고 인수에 참여했다는 의견이 지배적이다. 대한전선이 인수 후에 별다른 투자를 하지 않은 것도 뒷받침하고 있다.
선인상가조합 1,000여억원 손실입어
![]() 대한전선이 무주리조트를 시작으로 최근 3년간 기업 M&A와 관련 5,500억원을 투입해, 제조업으로서의 영업보다 금융지원업무에 재미를 붙이고 있다는 논란이 일고 있다. 사진은 용산 선인상가 모습.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