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은 비정규직법을 처리할 방침이지만 민주당은 5인 연석회의에서 합의점을 도출하지 못할 경우 저지하기로 해 진통이 예상된다.
한나라당 안상수 원내대표는 29일 6월 국회 개원과 관련, “통과시킬 수 있는 법안은 수십, 수백 건이든 모두 신속히 통과시킬 것”이라고 밝혔다. 반면 민주당 이강래 원내대표는 “한나라당이 여당으로써 책임있는 자세와 결단을 가지고 이 문제에 대해 합의처리를 꼭 해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안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6월 국회를 서민국회와 일자리 국회로 방침을 정한만큼 서민 살리기 법안, 일자리 만들기 관련 법안을 집중 심의할 예정”이라며 이 같이 말했다.
안 원내대표는 또 “언론관계법과 비정규직법이 주요 이슈이지만 국회가 해결해야할 시급한 법안은 이외에도 수십, 수백건이 있다”며 “민주당이 농성과 파업을 계속해도 우리는 국민과 함께 우리가 갈 길을 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안 원내대표는 특히, 비정규직법에 대해 “비정규직법 처리를 방해하는 것은 하나의 폭거”라며 “노동계가 받아들이지 않는 비정규직 유예안을 받아들이지 않겠다는 환경노동위원회 추미애 위원장의 말은 그 자체가 오만한 월권”이라고 비판했다.
그는 또 “비정규직 근로자들의 절박한 모습들을 갖고 정치적 흥정의 대상으로 삼아서는 결코 안된다”며 “민주당이 계속 정치적 계산에만 몰두해 비정규직 현실을 외면하면 준엄한 국민의 심판을 받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반면 민주당은 한나라당이 여당으로써 책임 있는 자세와 결단이 있어야 한다며 비정규직 법안에 대한 ‘합의처리’를 주장하고 나섰다.
이 원내대표는 이날 오전 국회 예결위 회의장에서 열린 의원총회에서 “한나라당이 주장하는 것처럼 (비정규직법이) 그대로 시행이 된다고 해서 대란이 일어난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비정규직 문제와 관련한 (민주당의) 당론과 주장이 옳다는 100%의 확신을 가지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현재) 밖에 알려진 것처럼 상당한 입장이 표명됐고, 일정부분 상당한 접근에 와 있다. 한나라당의 큰 결심 없이는 합의에 이르는 것은 어려운 일 아니냐”며 한나라당의 합의처리를 촉구했다.
그는 이어 “(한나라당이) 다른 시각에서, 다른 의견으로 문제제기를 하기 때문에 제 주장을 고집하지 않고 타협하고 협상하겠다는 자세로 협상에 임하고 있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