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국힘, 디지털 공약 플랫폼…쌍방형 '공약위키' 공개

김세권 기자  2022.01.01 17:52:50

기사프린트

 

한눈에 정책·공약 확인…정책 제안도 가능
尹 "공약위키,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시작"
"정책 대상인 국민 삶·현장서 정책 나와야"

 

[시사뉴스 김세권 기자]  1일 국민의힘은 국민과 함께 만들어가는 디지털 공약 플랫폼인 '윤석열 공약위키'를 발표했다. 윤석열 공약위키는 윤 후보의 공약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책과 공약을 모아 놓은 공간으로, 누구나 직접 정책에 대한 의견을 나눌 수도 있는 디지털 플랫폼이다.

윤 후보는 이날 오후 여의도 하우스카페에서 열린 '윤석열 공약위키 언박싱 데이'에 참석해 "국민에게 제시할 공약을 쉽게 확인하고 국민이 공약을 만드는데 직접 참여하는 쌍방형 개방형 디지털 플랫폼이다. 국민이 직접 정책을 제안할 수 있고 공개된 정책에 대해 의견을 제언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그는 "공약위키는 제가 지향하는 디지털 플랫폼 정부의 시작이다. 정책은 관료탁상에서 관료들이 머리 맞대서 나오는 것만으로는 부족하고 실제 정책의 대상이 되는 국민들의 삶과 현장에서 나와야 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탁상정책이 아니고 현장 정책 추구해나갈 것"이라면서 "정책이 요리라고 한다면, 정책 수요자들이 조미료 양념까지 잘 쳐서 맛깔나게 정책을 소비할 수 있다는 의미가 있다.현장 중심의 정책 프로세스"라고 강조했다.

한편 윤 후보는 문재인 정부의 코로나19 대응 정책에 대해 쓴소리도 내뱉었다.

그는 "역학조사 정보, 기저층, 치료관련된 정보, 각종 의료시설 등 모든 것들이 데이터화해서 하나의 플랫폼에 올라와 있었으면, 그리고 의료관계자, 환자 가족, 정부 당국, 제약회사 관계자가 플랫폼에 들어가서 정보를 공유했다면 보다 데이터에 기반한 과학적 방역정책과 치료 대응이 나올 수 있지 않았겠느냐"고 비판했다.

이후 박민영 청년보좌역이 노션 협업 플랫폼을 활용한 윤석열 공약위키를 시연하면서 "국민께서 자유롭게 정책을 제안하고 토론하실 수 있도록 청소년, 청년, 워킹맘, 자영업자 등 세부 분류체계를 마련했다"며 "디지털 플랫폼으로 정책을 유통하는 만큼 종이 공약집을 줄여 환경 보전에도 힘쓸 수 있는 것도 장점"이라고 설명했다.

윤 후보는 윤석열 공약위키를 통한 양방형 소통 정책이 디지털 시대에 자유민주주의를 반영할 수 있는 주요한 수단이라고 강조했다.

'후보가 생각하는 진정한 민주주의가 무엇이냐'는 기자의 질문에 "민주주의는 독재가 될 수 있다. 더불어민주당의 180석 가지고 국회에서 해가는 게 이마누엘 칸트가 말한 그 독재가 될 수 있다"면서 "민주공화정, 자유민주주의가 진정한 민주주의라고 생각한다. 쌍방향 소통 정책 프로세스는 바로 민주공화정을 디지털 시대에, 반영해 나가는 유효한 방법"이라고 설명했다.

쌍방향 공약에 대한 저작권 관련 문제를 지적한 질문에는 "정책이라는 것은 저작권을 주장하기 어려운 분야라 생각한다. 본인의 의견을 오픈된 공간에 올린 것이니, 누구나 공유할 수 있다"면서도 "중요한 콘텐츠를 제공하면, 이름을 붙여서 본인도 보람을 느끼고 더욱 확산할 수 있게 해 나가는 것을 생각하고 있다"고 답했다.

'윤석열 공약위키'는 www.wikiyoon.com 주소로 접속할 수 있으며, 포털사이트를 통해서도 검색할 수 있다. 윤석열 공약위키에 기록된 정보들은 공약커넥터를 통해 나무위키에도 게재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