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일부는 지난달 30일 동해 북방한계선(NLL)을 넘어갔다가 북 경비정에 나포된 '800 연안호'의 선원 송환과 관련해 진전된 상황이 없다고 밝혔다.
이종주 통일부 부대변인은 이날 정례 브리핑에서 “오늘 오전 9시 30분쯤 남북 해사당국간 통신이 있었다”면서“우리 측은 북측에 (연안호) 관련 상황을 다시 문의했지만 북측은 '현재 조사 중에 있다' 고만 답변을 했다”고 밝혔다.
우리 당국은 사건 당일인 지난달 30일과 31일 두 차례 걸쳐 북측에 전통문을 발송, 선원들을 인도주의적 차원에서 조기에 송환할 것을 북에 촉구한 바 있다.
그러나 북측은 나포 다음 날인 지난달 31일 대남 전통문을 통해 “현재 연안호에 대해 해당기관에서 구체적인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면서 “조사결과에 따라 선원들과 연안호 문제가 처리될 것” 이라고 밝힌 뒤 지난 1일 이같은 내용을 조선중앙통신을 통해 보도했다.
하지만 연안호 송환과 관련해 다양한 분석이 제기되고 있다. 현재로선 북한이 조사중이라는 말만 되풀이하고 있어 정확한 사태 해결 시점을 알 수 없지만, 조사결과나 송환여부 등의 의사표명은 남북한 군 통신선을 통해 이뤄질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북측이 연안호를 ‘영해불법침입’으로 규정하고 조사를 진행 중인 점에 미뤄 사태의 신속한 해결을 예단키 어려운 상황. 특히 이달 17∼27일 실시될 한·미 합동군사훈련인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 은 남북관계의 가장 큰 악재다. 을지프리덤가디언(UFG) 연습을 빌미삼아 연안호선원을 인질카드로 쓴다면 장기화가 불가피하다는 분석이다.
한편 현인택 통일부 장관은 연안호 상황의 가변성을 감안, 4일부터 1박2일 일정으로 예정했던 강원도 고성.속초 지역 납북자 가족 방문 계획을 연기했다.
통일부는 “현 장관의 동해안 지역 방문은 다양한 현안을 이유로 다음 기회로 연기하기로 했다”면서 “대신 현 장관은 5~6일로 예정한 경기도 가평.시흥 소재 귀환 납북자 가정 및 납북자 가족 가정 방문은 비공개리에 진행할 예정”이라고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