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6월 국회’의 언론관계법 강행 처리 과정에서 불거진 ‘재투표·대리투표’ 논란이 여야의 공방전이 갈수록 격화되고 있다.
민주당이 한나라당의 대리투표 의혹 동영상을 공개하며 원내외 투쟁에 박차를 가하는 가운데 한나라당은 민주당의 내부문건을 공개하고 사전선거운동 의혹을 제기하며 적극 대응에 나섰다.
민주당 대리투표 채증단장을 맡고 있는 전병헌 의원은 3일 “일사부재의 원칙을 파괴하고 다시 실시한 재투표조차도 원천무효적인 불법 부정투표의 의혹이 있는 영상을 포착해서 채증했다”며 관련 자료를 제시했다.
그는 “지난 22일 방송법 표결 당시 이윤성 국회부의장이 투표가 불성립된 이유를 설명하고 다시 투표를 시작한 시간에 이미 68명이 재석으로 투표를 해놓은 상태”라며 “결국 효력이 있는 재석인원은 85명뿐으로 사전 투표한 68명에 대해 분석했지만 재투표 선언 이후 다시 투표하지 않았다”고 사전 투표 의혹도 제기했다.
전 의원은 “재투표는 바로 이윤성 부의장이 발언한 시점 후부터”라며 “정확하게 투표 개시 선언 효력이 발생하는 시간부터 카운트하게 되면 재석 수가 엄청나게 부족하게 되는 사태가 초래된다”고 주장했다.
민주당은 이와 함께 한나라당 의원들의 대리투표 의혹 동영상을 추가 공개하며 미디어법 원천무효 공세를 이어갔다.
민주당은 한나라당 이사철 의원의 투표와 관련 이날 최고위원 회의에서 동영상을 상영하며 “이 의원의 재석버튼이 15시49분에 눌려졌는데 그 시간 이 의원은 의장석에서 민주당 의원들과 몸싸움을 하고 있었다”고 지적했다.
동영상을 시청한 정세균 대표는 “모든 투표는 개시와 종료가 있는데 (68명은) 투표개시 전에 투표를 한 것이기 때문에 분명히 원천무효”라며 “더 이상의 유무효 논란은 무의미하다”고 강조했다.
박주선 최고위원은 “화면을 볼 때마다 풀리지 않는 의문이 의장석을 지키며 몸싸움하는 한나라당 의원 수가 대체로 한 30여명이었는데 그 사람들이 전부 투표한 걸로 나오는 것”이라며 “이를 보면 대리투표를 전제로 하고 작전을 짠 거 아닌가”라고 말했다.
노영민 대변인은 이날 한나라당의 ‘사전 선거운동 문건’ 주장에 대해서는 “확정되지도 않은 문건을 가지고 문제로 삼으려는 저의가 무엇이며, 설사 그것이 내부적으로 확정되었다 한들 정당의 일상적 당무가 무슨 문제냐”며 “아무런 문제도 되지 않을 단순 보고용 문건 하나 주워 의기양양하는 한나라당 지도부의 모습은 초등학생 수준만도 못하다”고 비난했다.
반면 한나라당은 특정 정치인의 지역구에서 미디어법 장외투쟁을 벌이는 민주당에 대해 사전선거운동 혐의로 선관위에 조사를 요청했다.
안상수 원내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민주당 내부문건에서 드러난 투쟁 계획서는 명백한 사전운동계획서임이 백일하에 드러났다”며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런 조직적 사전 선거운동 낙선운동에 대한 문건이나 현장 강연내용을 철저히 조사해 선거법 위반 여부를 가려주길 공식 요청한다”고 말했다.
그는 또 “민주당은 민생에 무능한 정당이면서 투쟁에 앞장서는 모습을 유감없이 보여줬다”고 주장했다.
박희태 대표도 최고위원회에서 “투쟁에도 법도가 있다”면서 “민주당은 단말마적인 행동에서 벗어나 이성을 찾고 돌아오기를 바란다”고 밝혔다.
그는 “국가간 전쟁에도 전시법이라는 엄한 법이 적용된다”며 “우리의 반세기 정치사에서 어떻게 국회의장과 다른 당 지도부의 지역구에서 불법적이고 무도한 시위를 벌이는지, 이는 역사의 준엄한 심판을 받아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광근 사무총장도 “민주당의 장외투쟁은 미디어법을 빌미로 결국 가깝게는 10월 재·보선, 멀리는 내년 지자체 선거까지 겨냥한 사전선거용 운동”이라며 “특정 정치인 지역에서 특정 정치인을 겨냥한 마녀사냥식 정치행보를 계속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윤상현 대변인은 이날 국회 정론관에서 가진 브리핑을 통해 “68명은 재투표 선언 전에 한 사전투표가 아니라 실제 투표가 시작돼서 20초간 진행된 투표 결과”라면서 민주당의 주장에 대해 “비열한 음해”라고 비난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