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준규 검찰총장 후보자는 17일 자녀 진학을 위한 위장전입 문제와 관련 “변명할 수도 없고 그 점에 대해 사려 깊지 못한 행동에 사과드린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이날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인사청문회에서 위장전입 문제를 놓고 여야의 추궁이 이어지자 “제 불찰이라고 생각한다”며 이같이 밝혔다. 그는 또 배우자의 이중 소득공제와 아파트 매매과정에서 ‘다운계약서’(이중계약서)를 통한 탈세 의혹에 대해서도 “결과적으로 국민 심려를 끼쳤다”고 말했다.
한나라당 이주영 의원이 “잘못을 시인한 것이냐”고 질문하자 “결과적으로…예”라고 답했다.
민주당 박영선 의원의 신용카드 공제내역과 관련해 법을 위반했다는 지적에도 “해당 내용을 파악한 뒤 (부당공제) 차액을 바로 납부토록 조치했다”며 “세심히 챙기지 못한 불찰이 있다”고 시인했다.
김 후보자는 ‘창원지검 차장검사 재직시인 지난 2001년 김 후보자의 매형이 선박 침몰사고에 연루돼 해경의 수배를 받던 중 검찰이 해경에 체포를 승인했다가 갑자기 석방을 명령했다’는 민주당 이춘석 의원의 주장에 대해선 “그때 상황을 알지도 못하고, 지금 의심하는 것처럼 개입한 바 없다”면서 “한 점의 부끄럼도 없다”고 말했다.
김 후보자는 검찰의 수사 방식에 대해서는 “수사패러다임의 변화로 선진검찰을 이루는 것”이라면서 “경직된 검찰문화도 소통위주로 가고 하나됨을 만들고 싶다. 현재의 검찰은 지연, 학연으로 이원화돼 이젠 하나로 만들고 싶다”고 밝혔다.
그는 또 검찰 임용연령 상향조정에 대해선 “장기적으로 그런 방향으로 가야 맞을 것 같고 장기과제로 연구할 사항”이라며 “형사부 검사의 업무를 경감하면서 본연의 임무를 수행할 수 있는 방안도 연구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앞서 김 후보자는 인사말을 통해 “검찰이 국민들로부터 믿음과 사랑을 받을 수 있도록 변모하는데 최선을 다하겠다”면서 “국민이 바라는 정치적 중립을 의연하고 굳건하게 지켜나가겠다”고 다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