민주당 정세균 대표는 26일 “민주당은 고 김대중 전 대통령 추모에만 머무르지 않고, 개혁세력 통합과 혁신을 해 국민의 추모에 보답하겠다”고 밝혔다.
정 대표는 이날 서울 여의도 당사에서 열린 최고위원회의에서 “추모를 넘어 한민족의 미래와 국가경쟁력, 서민들과 중산층의 어려움 해소를 통한 국민 삶의 질 등을 향상시키는 유능한 정당으로 거듭나는 것이 우리의 책무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어제 (김 전 대통령이 태어난) 전남 신안군 하의도를 방문해 결의를 새롭게 다졌다”며 “민주개혁 진영의 대표 정당으로, 또 오랜 역사와 전통을 가진 정당으로 이 시점에서 무엇을 해야 할 것인가에 대해 성찰과 반성을 했다”고 피력했다.
그는 “김 전 대통령이 우리에게 남겨준 ‘행동하는 양심이 되라’는 것은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새겨들어야 할 대목”이라며 “아울러 민주주의 후퇴를 막고, 서민경제를 지켜내고, 남북 화해협력 정책을 계승하기 위해 노력하겠다”고 강조했다.
박주선 최고위원은 “김 전 대통령이 화해와 통합이라는 큰 메시지를 남겼고 이것이 정치권에 화두로 던져지면서 국민들이 이에 공감하고 있다”며 “그런데 일부 세력이 신당 창당을 말하고 있어 우려된다”고 말했다.
이어 “김 전 대통령 유지에 따라 민주개혁 세력이 대동단결해야 할 시점에서 어떤 주장과 명분으로도 창당은 바람직하지 않다”며 “분열은 참패와 공멸이라는 역사적 교훈을 상기해 민주당을 중심으로 화해하고 통합해야 한다”고 주문했다.
박 최고위원은 한편 “김 전 대통령의 생가를 가보니 너무 초라하고 시설이 빈약했다”며 “국가 차원에서 많은 지원과 배려로 기념사업이 활성화될 수 있도록 신속하게 추진해야 한다”고 촉구했다.
우상호 대변인은 최고위원회의 직후 브리핑을 통해 “그 동안 전국 16개 시.도를 직접 돌며 대규모 장외투쟁을 해 왔지만, 다음 주부터는 전국지역위원회 별로 범국민서명운동을 진행하는 방식으로 장외투쟁을 벌일 것”이라고 말했다.
우 대변인은 또 “대통령이 개각을 하게 된다면 그에 따른 인사청문회에 참여하겠다”며 원내외 투쟁을 같이 진행해 언론악법 철회와 민생 관련 사항에 적절히 대응하겠다”고 밝혔다.
우 대변인은 “그러나 정기국회 등원에 대해서는, 전면적인 등원은 언론악법 등 여권이 만들어 놓은 수많은 갈등 요인을 해결한 후에 검토할 수 있다”고 거듭 강조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