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수 슬러지 자원화 1단계 처리시설’ 설치 사업이 담당자들의 허위 준공검사와 업무태만 등으로 정상적인 가동을 하지 못한 것으로 확인됐다.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한나라당 박준선(용인시 기흥구)의원은 30일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가 제출한 자료에 의하면, 398억원을 투입한 ‘하수 슬러지 자원화 1단계 처리시설’이 준공까지 다 됐음에도 불구하고 정상적으로 가동이 되지 않고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그로인한 국민 혈세 398억원 은 공중으로 날아갈 판이 됐다.
이번 사업의 문제는 국정감사 이전에 억지로 가동시켰다.
이번 사업은 유기성 슬러지의 해양배출규제 강화(런던협약 1996의정서)에 따라 수도권 3개 시·도(서울시·경기도·인천시)에서 발생되는 함수율 약 80%인 하수슬러지(1000톤/일)을 고화제(280톤/일) 및 생석회(70톤/일)을 생산하여 복토재로 활용할 수 있는 시설을 설치하는 사업이다.
지난 2006년 4월~2008년 12월13일까지 설계 및 공사 이후 정상적인 가동이 돼야함에도 불구하고 근 9개월 동안 가동이 전혀되지 않다가 국회의 업무보고 및 자료요구 등 상황파악에 들어가자마자 지난달 24일~28일까지 시험운전을 마친 후 억지로 가동을 시키고 있는 상황이라고 박 의원은 지적했다.
이에 박 의원은 “억지로 가동을 시키다 보니, 하루 복토량 생산량은 사업초기 계획안 907톤의 1/4수준인 평균 248톤의 복토를 생산한 것이다”며 “하루 최저 10톤의 복토를 생산할 뿐만 아니라 아예 가동이 되지 않은 날이 있었던 것을 보면, 동 시설을 억지로 가동시켰다는 것을 반증하는 것이다”라고 지적했다.
더구나 수도권매립지관리공사 관계자 또한 “이번 시설을 국정감사 이전에 억지로 가동시켰다”라고 말했다고 박 의원은 전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