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인터넷 전화 별정사업자, 73% DDoS 공격 대응력 미흡

시사뉴스 기자  2009.10.13 15:10:10

기사프린트

인터넷전화(VOIP) 전체 사업자 가운데 46%가 DDoS 공격 시 무방비 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13일 국회 문화체육관광방송통신위원회 한나라당 이경재(인천 서구강화을) 의원이 방송통신위원회로부터 받은 자료에 따르면 1,000명 이상 가입자를 보유한 기간 및 별정사업자 24곳을 조사한 결과 5곳(21%)은 우수, 8곳(33%)은 보통, 11곳(46%)은 미흡한 것으로 드러났다. 또한 인터넷전화(VoIP) 전체 사업자 중 절반(46%)이, 조사대상 별정사업자 15곳(73%)이 지난 7월 발생했던 분산서비스거부(DDoS) 공격과 같은 사이버 테러 발생 시 무방비상태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경재 의원은 "영세한 별정사업자들이 사각지대에 놓여 있다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며 "VoIP 보안장비의 대다수가 외산의 고가제품이기 때문에 도입은 고사하고 장비를 국산화한다 해도 단가가 맞지 않아 가격을 대폭적으로 인하하지 않는다면, 회복이 불가능하다"고 주장했다.
이 의원은 “VoIP 전용 보안장비 운용으로 DDoS 공격에 대응하는 사업자는 5곳(기간사업자)에 불과하며, 대부분의 별정사업자(12곳)는 대응체계 보완이 요구된다”며 “VoIP 가입자 수가 500만 명에 육박하는 상황에서 침해사고를 예방하고 대응하기 위한 정책 및 법제도의 개선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이어 이 의원은 “무엇보다 영세한 별정사업자들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기술지원을 비롯해 이를 통해 국민들의 피해를 사전에 막기위한 실질적인 대책이 더욱 시급하다”면서 “별정 2호 사업자는 일부 사업자 2곳만 정보보호 정책이 있으며 정보보호 교육을 하는 사업자가 없다”고 지적했다.
이 의원은 “보안담당자들의 정기적인 교육 실시 및 정보보호 정책 수립을 위한 고민을 하고 있으나 비용문제 등으로 실행하지 못하기 때문”이라며 “영세 별정사업자들의 보안성 강화를 위한 기술 지원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한편 방송통신위원회의 조사에 따르면 기간사업자들은 VoIP 네트워크 대상 DDoS 공격을 통한 서비스 마비를 가장 심각한 위협으로 인식하는 반면에 별정사업자들은 VoIP 주요 장비 대상 해킹을 통한 서비스마비를 가장 심각한 위협으로 인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