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언론재단도 낙하산(?)

시사뉴스 기자  2009.10.15 16:10:10

기사프린트

한국언론재단에 이명박 대통령 후보 한나라당 선거대책위원회 홍보기획팀장, 청와대 언론1비서관실 행정관 출신이 앉아 있은 것으로 나타났다.
민주당 전병헌 의원실 조사에 의하면 2008년도부터 2009년 사이에 채용된 계약직 현황을 보면, 총 4명임. 이 중 3명은 채용 공고를 통해 임용되었으나, 이○○은 ‘채용공고’ 절차가 생략된 채, 서류전형과 면접으로만 임용되었다.
이○○은 1급상당의 계약직 광고전문위원으로 임용되었으나 ‘1급 상당의 광고전문위원’은 본래 직제에도 없는 직위다. 또한 광고사업본부는 영업1팀과 영업2팀으로 구성된 정부광고대행 부서로, 재단은 이우찬 씨에 대해 “광고주(정부기관 및 공공기관)와의 업무 협의 및 광고기획 업무”를 주로 한다고 밝혔다.
특히, 이우찬 씨가 배속된 광고사업본부 영업1팀은 ▲ 정부광고 기획 ▲ 정부광고 매체 플랜 수립, 구매, 집행 ▲ 정부광고 외주대행사·제작사 관리 ▲ 정부광고 사업·영업 예산수립 및 관리, ▲ 정부광고 중장기 전략 수립 등의 업무를 하는 곳으로 정부광고 전반에 중요한 영향을 미친다.
정부기관 및 공공기관들이 재단에 정부광고를 의뢰 시, 희망매체를 기입하게 되어 있는 데, 청와대 출신이 게이트 키핑 역할을 할 경우 광고주들의 자유로운 매체선택권이 제약받을 수밖에 없다.
전 의원은 이에 대해 이명박 대통령 후보 선대위와 청와대 행정관 출신이 광고주(정부부처 및 공공기관)와의 업무협의와 광고기획을 빙자해 광고주들에게 특정 언론에 대한 지원 등 그동안 지적되어 왔던 특정 언론에 대한 편중 지원이 더욱 강화될 것으로 전망하고 있다.
전 의원은 “한국언론재단이 현재까지 ‘2009년 9월분 정부광고 신탁자료’를 정리가 미비하다는 이유로 제출하지 않고 있다”면서 “더 방대한 광고대행 자료를 보유하고 있는 코바코에 비해 상대적으로 적은 양의 광고대행 자료를 운용·관리하고 있음에도 직전 달의 통계조차 나오지 않는 것은 정부광고대행 업무의 허술함을 단적으로 보여주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또한 언론중재위원회도 2009년 공중파 3사 가운데서 유독 MBC만 제외하고 광고 배정했다. 방송광고 총 146회 중 KBS 71회(5,737만원), SBS 75회(1,124만원) 집행하는 동안 MBC는 단 한 건도 배정하지 않았다. 반면, 신문광고는 동아일보를 제외하고는 다른 신문사에 한 번도 배정된 바 없다. (중앙일간지 광고 총20회 (660만원), 전량 동아일보에만 배정)
언론중재원회는 국무총리 훈령에 따라 방송광고 집행대행을 한국언론재단에 의뢰하고 있고, 대행 과정은 전체 집행예산 및 희망매체(TV, 라디오) 등에 대해 광고의뢰서를 언론재단 측에 보내 대행을 의뢰하고, 프로그램, 시급 등 구체적인 집행계획은 재단측과 협의하여 언론재단의 제안내역을 최종 수용하는 형식으로 결정하고 있으나 한국언론재단은 구두통화 답변으로는 ‘언론중재위원회가 광고업체를 배정한 것’이라고 답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