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지난 4~10월 총 5회에 걸쳐 서울시내 지하철역 주변에서 판매되는 식품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실시하고 종합 분석 결과를 6일 밝혔다.
종합 분석 결과에 따르면 지하철역사 53곳 중 38곳(71.7%)의 역사주변 식품에서 식중독균이 검출돼 부적합 판정을 받았다.
계절별로는 여름철 중 7월과 8월에 식중독균이 가장 많이 검출됐으며 검출된 식중독균으로는 바실 러스 세레우스균이 46건(중복검출 포함)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고 이어 대장균 38건, 황색포도상구균 12건 등이 검출됐다.
제품별로는 김밥이 60건(66.7%), 토스트 15건(16.7%), 샌드위치 8건(8.9%), 떡 4건(4.4%), 햄버거 2건(2.2%) 등으로 직장인들이 가장 즐겨찾는 식품이 식중독균 위험에 노출된 것으로 나타났다.
지하철 역사별로는 시청역 8건으로 가장 많았으며 이어 신촌역 6건, 신이문역 5건, 삼성역·홍대입구역·합정역·노량진역·신설동역 4건 순이었다.
시 관계자는 “시는 앞으로도 위생 사각지대에 있는 식품들에 대한 안전성 검사를 지속적으로 실시해 시민들에게 먹거리 안전성 등 정보를 제공할 것”이라며 “검증되지 않고 지하철 역사 주변에서 무신고로 판매되고 있는 식품을 섭취하지 말아야 한다”고 당부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