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수도권을 중심으로 한 부동산 값 폭등 등으로 정부의 부동산정책에 대한 질타가 끊이지 않고 있는 가운데 청와대가 부동산 정책의 실패를 건설업체와 일부 금융기관, 언론 탓으로 전가하고 "지금 집사면 낭패"라고 언급한 것을 놓고 논란이 일고 있다
청와대는 10일 청와대 브리핑에 게재한 홍보수석실 명의의 올린 '정부, 양질의 값싼 주택 대량 공급'이란 제하의 글을 통해 "정부는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획기적인 주택공급정책을 준비하고 있다"면서"지금 집을 살까 말까 고민하는 서민들은 조금 기다렸다가 정부 정책을 평가하고 나서 결정을 해도 늦지 않을 것"이라고 말했다.
기다려야 하는 이유에 대해 청와대는"정부는 중산층과 서민을 위한 획기적인 주택 공급 정책을 준비하고 있다"며"부동산 문제를 다루는 언론 보도를 보면 불안한 마음이 들겠지만 정부 정책을 믿어 달라는 당부"라고 밝혔다. 즉 "비싼 값에 지금 집을 샀다가는 낭패를 면할 수 없기 때문"이라는 것이 청와대의 주장이다.
청와대는 부동산 투기세력에 대한 문제점도 지적했다. 청와대는 "부동산투기를 일삼고 부추기거나, 부동산시장을 교란해온 부동산세력은 잊을 만하면 실체를 드러낸다"면서"투기를 조장해 폭리를 취하려는 일부 건설업체, 높은 금리의 돈 장사를 하려는 일부 금융기관, 일부 부동산중개업자들, 일부 부동산언론들이 여기에 해당된다"고 지적했다.
아울러 청와대는"최근 부동산 시장이 불안한 모습을 보인 것은 정부의 부동산정책이 부동산세력에 밀린 탓"이라며 "그러나 이 같은 동요는 오래가지 못할 것이다. 정부가 획기적인 공급정책을 준비하고 있어 부동산시장의 거래가 급속도로 투명화 되고 있기 때문"이라고 주장했다.
한편 청와대 브리핑이 나가자 인터넷 포털 사이트 등에는 댓글 수천 건이 쏟아졌다. 대부분 분노에 가까운 반응이었다."집값 못 잡은 정책 실패 책임을 다른 곳에 전가하려는 무책임한 주장", "신뢰를 잃은 정부의 시장 협박","정부 발표 반대로 하는 것이 정답이다" 는 등의 원색적 비난이 터져 나왔다. ID가 'seraqwe'인 네티즌은 "거꾸로 가면 대박"이라고 했고, 'cjhcjh11'은 "지금 반드시 집을 사란 말로 들린다"고 했다. "청와대 말은 콩으로 메주를 쑨다고 해도 못 믿는다", '정부를 믿을 바엔 차라리 옆집 개를 믿겠다"는 반응도 있었다.'kyhpja'는 청와대 홈페이지에"(청와대는) 폭동에 준비하라"고 썼고, 'lovereta'는 "또 남의 탓이냐"며 "아마추어 정권의 어설픈 정책 때문이라고 솔직히 말하고 석고 대죄 하라'고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