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의 중간선거가 공화당의 참패로 끝나면서 전세계가 이라크 철군에 목소리를 높이고 있는 가운데, 진보성향의 한나라당 고진화 의원은 13일 이라크 자이툰 부대의 철군을 주장하며 "미국의 '네오콘(미국 공화당의 신보수주의자)'은 갔어도 '한콘(한나라당 네오콘)'은 영원하냐"면서"한국의 보수세력들은 평화를 제도화하자는 시대코드를 읽지 못한 채 미국 네오콘만 바라보며 전쟁불사를 합창하는'한콘'은 냉전형 미숙아"라고 비판했다.
고 의원은 이날 배포한 보도자료를 통해 "전 세계의 평화 애호세력이 이라크 전쟁의 부당함을 알고 철군 및 반전의 행렬에 동참했으나 한콘은 오직 미국 네오콘의 정책을 무비판적으로 추종하며 그것이 한미동맹 강화라고 강변해 왔다"며 이 같이 밝혔다.
그는 특히"미국 중간 선거 결과 럼스펠트 국방장관의 퇴임으로 사실상 미국의 네오콘은 백척간두의 입지에 몰려 몰락해 가고 있다"면서"한콘은 냉전적 질서의 불꽃을 살려보려는 안타까운 몸부림을 통해 여전히 건재하고 있다. 북한 핵실험 후 대화를 통한 외교적 해법을 뒤로 한 채 전쟁불사, PSI(대량살상무기 확산방지구상) 전면 참여 등 극단적인 방법만을 내세우며 북한과의 치킨게임을 주장하고 있다"고 비꼬았다.
고 의원은"작전 통제권 전환에 대해서도 미국의 전세계적 전략 변화와 미군 재배치 계획을 모른척 한 채, 작전 통제권 전환이 한미 동맹의 해체라며 진실을 호도하고 국민을 선동하는 안보 상업주의를 등에 업고 자신들의 위치를 오히려 강화하고 있다"면서"네오콘이 배타고 떠난 항구를 바라보며 쓸쓸히 항구를 지키는 것이 한콘의 자화상인 셈"이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고 의원은 한나라당의 대권후보들에게도"프랑스나 독일 대다수 정치인들은 소신 있게 이라크 전쟁의 비도덕성과 평화애호 세력의 결집을 주장했을 뿐만 아니라 그 나라 국민들도 뚜렷이 평화를 심는 목소리를 내고 있는데, 우리의 자칭 대권후보들은 이라크 전쟁에 대해선 일제히 '침묵의 카르텔' 이 돼 버렸다"고 지적했다. 그는"자칭 대권후보들의 대중추수 외교노선의 근원은 네오콘과 한콘이 부르짖는 냉전의 메아리에 사로잡혀 능동적인 대응을 기피하면서 무소신 행보에 줄 맞춰 걸어 왔기 때문"이라고 혹평했다
고 의원은"이처럼 시대코드의 변화에 눈감은 채 자칭 대권후보들의 대중추수 외교노선의 근원은 네오콘과 한콘이 부르짖는 냉전의 메아리에 사로잡혀 능동적인 대응을 기피하면서 무소신 행보에 줄 맞춰 걸어왔기 때문"이라며 "차기 대선은 '전쟁이냐 평화냐'는 패러다임을 놓고 과거로의 회귀와 미래로의 전진을 선택하는 것이 주요 이슈의 한 축이 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고 의원은"현 정부도 외교노선의 빈혈증세와 철학의 빈곤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면서 "동북아 균형자론을 내세우면서도 정작 이라크 파병에는 미국 네오콘의 입김에 고개를 돌렸다"며 "지금 시대가 요청하는 것은 이라크 철군을 넘어 평화 신질서를 구축하기 위한 국제적 연대를 모색하는 포괄적 논의"라고 주장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