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대중(.DJ)전 대통령은 15일 "햇볕정책은 남북간 긴장완화와 많은 교류 협력 등 상당한 성과를 올렸지만 북미 대결이 햇볕정책의 완전한 성공을 저해시켜온 것이 사실" 이라며 부시 정부의 햇볕정책 무용론을 반박했다.
김 전 대통령은 이날 충남공주대학교에서 '민족의 운명과 우리 교육' 을 주제의 특강을 통해 "새로 구성된 미 국회가 합리적이고 유연한 자세로 북핵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하길 바란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또 이후 미국의 대북정책 변화 가능성과 관련해“새로 구성된 미국 국회가 합리적이고 유연한 자세로 북한 핵 문제를 성공적으로 해결할 것을 바라마지 않으며 이제 북미 간 직접대화의 길도 열릴 희망이 보인다”면서“미국 국회의 다수 의석을 차지한 민주당은 직접 대화를 주장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특히 "북핵사태는 미국이 북한과의 직접 대화를 거부하고 북한 체제를 뒤엎으려 한다는 의구심을 갖게 만든 데도 원인이 있다" 면서 "북한은 핵을 완전히 포기하고 철저한 검증을 받아야 하고 미국도 북한에 대한 안전보장과 함께 경제제재를 해제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북한 공산주의와의 통일이 쉽지 않지만, 포기해서는 안된다”면서 "우리는 젊은 세대에게 ▲평화공존 ▲평화교류 ▲평화통일의 3대 원칙 속에 남북이 평화적으로 협력하는 시대를 열어야 한다" 며 "남북의 평화적 협력은 전쟁의 가능성을 제거하고 한반도를 하나의 경제권으로 묶어 '압록강의 기적' 의 시대를 이룩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김 전 대통령은“북한이 핵을 보유하는 것은 한반도와 세계평화를 크게 저해하고 1991년 남북간에 체결된‘한반도 비핵화 공동선언'에 정면으로 위배되는 만큼 절대로 용납할 수 없다”면서도“오늘의 사태는 미국이 북한과의 직접대화를 거부하고 북한 체제를 뒤엎으려 한다는 의심을 갖게 만든 데도 원인이 있다”고 미국 책임론을 거듭 거론했다.
이와 함께 "공산권에 대한 정책은 개혁과 개방으로 유도했을 때 성공했고 봉쇄정책은 실패했다"고 말하고 "6자회담의 성공을 위해서는 북한을 적극적으로 포용하도록 미국에 얘기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한편, 공주대는 김 전 대통령에게 명예교육학 박사학위를 수여했다. 공주대는 김 전 대통령이 '햇볕정책'과 신뢰를 바탕으로 남북관계를 개선해 민족화해와 평화통일의 기반 조성과 한민족 공동체의식 형성에 기여한 점, 저술활동과 문화산업 육성, 교육정보화 토대 구축을 통해 교육환경을 획기적으로 개선한 점등을 높이 평가해 교육학 박사학위를 수여했다.
김 전 대통령은 이날 행사에 앞서 공주대 도서관 앞에서 기념식수를 했으며, '경천애인(敬天愛人)' 이라고 쓰인 휘호를 공주대에 전달하기도 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