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 비서실의 관용차량 매각에 청와대 직원들만 입찰에 참여해 독점적으로 매입해온 사실이 드러났다.
국회 운영위원회 소속 한나라당 김희정 의원은 16일“2003년 이후 공매차량 25대를 전부 청와대 직원들이 구입했다”면서“폐기차량을 공매 할때 일반 국민도 참여시키도록 규정한 재정경제부 고시를 어기고 청와대 직원들은 관용차량을 시세보다 저렴하게 구입할 수 있는 독점적 권한을 누렸다”고 밝혔다.
재경부 고시에 따르면 폐기차량을 공매할 때는 일반 국민도 접근 가능한 ‘전자자산처분시스템’(http://www.onbid.co.kr"">www.onbid.co.kr)을 이용해야 한다. 그러나 김 의원에 따르면 청와대는 내부 전산망인 ‘E지원’에만 관련 정보를 올려 청와대 직원들만 입찰에 참여해 시세보다 저렴한 가격에 관용차량을 구입할 수 있는 권한을 독점했다.
관용차는 값이 비싼 중촵대형급 이상의 차량이 대부분이지만 원활한 공매를 위해 한국감정원이 최저가의 감정평가 가격으로 입찰을 하므로 시중의 중고차 가격보다 20~30% 이상 낮은 가격으로 청와대 직원들에게 매각되고 있다. 예를 들어 지난 2005년에 입찰된 그렌저XG 2.0 8대의 경우 평균 610만원에 감정돼 평균 814만원에 매각됐지만, 1년이 지난 현재 동일 차종의 중고차시장 가격은 1천만~1천200만원인 것으로 조사됐다.
이에 대해 청와대측은 "일반인에게 청와대 누가 타던 차량이더라’는 소문이 나면 좋지 않을까봐 보안 문제 때문에 내부입찰을 추진했다"고 해명했지만, 결국 청와대의‘내 식구 챙기기’에 지나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김 의원은 “청와대의 이런 행태는 국민을 배제하고 청와대 직원들에게만 특혜를 주는 것”이라며“앞으로 고시를 준수하여 국민들도 참여 가능하고 적정 가격에서 이루어지는 입찰을 위해 제도를 개선하라”고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