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반론보도 요구가 정도이고 바로 개혁"

김부삼 기자  2006.11.27 19:11:11

기사프린트

노무현대통령은 27일"언론의 권력은 공공의 이익을 위해 행사되어야지 언론사의 이익을 위해 행사되거나 그 자체가 또 하나의 부당한 권력이 되어서는 안 된다"며"우리 공무원들이 이제 당당하게 잘못된 보도의 정정을 요구하고 반론보도를 요구하는 모습이 자랑스럽고 보람을 느낀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 이날 오후 공무원들에게 보낸 이메일을 통해 지난 11일 MBC 뉴스데스크에서 서울경찰청 관련 정정보도가 나온 것을 보고 느낀 점을 전하면서 이 같이 지적했다. 당시 MBC 뉴스데스크는 10월 23일 방송한 '경찰청 카드깡' 보도가 사실과 다른 보도이므로 바로잡는다고 정정 보도했다.

노 대통령은 "정정보도가 나오는 것을 보는 순간 이내 제 가슴에 잔잔한 감동이 밀려 왔다"며 "언론관계에 특히 민감하다고 알려져 있는 경찰 공무원 조직이 언론사를 상대로 재판까지 거쳐서 끝내 정정 보도를 받아냈고, 게다가 직원들이 스스로 호주머니를 털어서 소송비용을 마련하였다고 하니 우리 공무원들이 참으로 대견스럽고 고맙다"고 치하했다.

노 대통령은 "참여정부 출범 이후 부처의 보도대응을 통해 게재된 정정 또는 반론 보도문이 매년 100여 건 안팎에 이르는데 이는 공무원 한 사람 한 사람이 각별한 사명감을 가지고 고된 작업을 하지 않고는 결코 얻을 수 없는 결과"이라고 평가했다.

노 대통령은"우리 공무원들이 이제 당당하게 잘못된 보도의 정정을 요구하고 반론보도를 요구하는 모습을 보면서 참으로 격세지감을 느끼고 자랑스럽다"며 "우리는 정도(正道)로 가고 있는 것이고 개혁이 따로 있는 것이 아니라 이것이 개혁"이라고 극찬을 이어갔다.

노 대통령은"공무원 조직은 큰 권력이고 언론도 큰 권력을 가지고 있다"며"적당하게 감추어주고 부당한 이익이나 특권을 나누어 가지는 일이 용납된다면 힘없는 국민들이 피해를 입을 것"이라고 우려했다.

노 대통령은"공무원 조직은 언론의 감시를 받아야 한다"며"언론의 감시가 어떤 사정기관의 감시보다 더 효과적일 수 있기 때문"이라고 설명한 후"지금 공무원 조직은 언론의 감시를 받고 있고 중앙부처의 경우 지나치다 싶을 만큼 감시를 받고 있다"며"이것은 좋은 일"이라고 밝혔다. 또"언론은 진실을 보도해야 하고 근거 없는 보도나 왜곡보도에 대해서는 엄격한 책임을 져야 한다"며 "정책에 대한 비판은 대안을 가지고 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
노 대통령은"정부의 정책에 관하여 언론이 사실을 전달하지 않고 오히려 왜곡된 정보를 전달하고 책임 없는 비판을 하게 되면 국가정책은 제대로 수행되기가 어렵다"며"잘못된 보도와 비판은 반드시 바로잡아야 하고, 책임지는 문화를 만들어야 한다"고 말했다.

노 대통령은"지금 공무원 여러분은 잘하고 있고 감사하게 생각하고 있지만 아직 가야할 길은 많이 남았다"며"특권의식을 버리지 않고, 진실과 책임 그리고 공정이 무엇인지를 생각하지 않는 낡은 문화가 아직도 남아있기 때문"이라고 지적하며 "어렵지만 사명감을 가지고 함께 해주시기 바라며, 반드시 보람이 있을 것"이라고 당부한 뒤 "대통령도 힘이 들지만 신념을 가지고 견디어 나가겠다"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