추미애 전 민주당 의원이 민주세력 통합의 '전도사' 역할을 자임하고 나섰다. 최근 여당내 정계개편을 둘러싼 분열 양상과 맞물려 그의 행보가 예사롭지 않다.
추 전 의원은 5일 오후 부산대에서'한국민주주의와 민주개혁세력의 과제'라는 주제로 강의에 앞서 배포한 자료를 통해"지금 민주세력에게 가장 시급한 문제는 분열의 극복"이라며 영호남 민주세력의 통합을 역설했다.
그는 2002년대선 경선 당시 민주당이 영남후보를 선택함으로써 지역구도 탈피라는 중대한 진전을 이뤘다고 전제한 뒤, "노무현 대통령이 그러한 민주당을 기반으로 영남민주세력을 통합하는 통합신당으로 나갔어야 했는데 분당을 선택함으로써 결과적으로 영남민주세력과 호남민주세력이 다시 분열됐다"며 "그러므로 다시 양대 민주세력이 하나로 통합하여 역사를 진전시켜 온 민주세력의 정체성과 자존심을 다시 세워야 한다"고 주장했다.
추 전 의원은 "현 집권세력의 무능은 마치 산업화 세력이 미래의 대안인 것처럼 착각을 불러일으킨다"면서 "세계는 이미 산업화시대를 지나 지식정보화 시대로 빠른 속도로 진입하고 있는 중이기 때문에 산업화 세력과 그 후예들의 획일화되고 경직된 경험과 가치로는 미래의 비젼을 만들어 가기 어렵다"고 진단했다.
그는 무엇보다 민주세력이 겪고 있는 갈등의 저변에는 지난해 노무현 대통령의 한나라당에 대한 대연정 제안에 있음을 지적했다.
추 전 의원은"노 대통령이 느닷없이 한나라당과의 대연정을 제기함으로써 마치 민주세력의 시대적 역할이 끝난 것처럼 보이게 했다"며 "이것은 자력으로는 더 이상 국정을 수행하기 어려워진 현 집권세력의 무능을 결과적으로 전체 민주세력의 무능으로 전가하는 무책임한 발상일 뿐만 아니라 민주세력이 이룩한 역사적 진전마저도 정치적 필요에 따라 손쉽게 포기할 수도 있다는 역사의식의 빈곤을 드러냈다"고 말했다.
추 전 의원은 "노무현 대통령의 실패가 전체 민주세력의 실패는 아니다"며 "민주가 주체세력의 정체성을 말하는 것이라면 평화, 개혁, 경제 문제의 해결은 민주세력이 진전시켜야 할 시대적 과제"라고 강조했다. 이어 그는"민주세력은 난제에 부딪힌 경제성장과 양극화 문제 해결을 위한 역량을 모으기 위해서라도 반드시 통합을 이루어 내야 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