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경실련 "판교 분양원가 구성 오락가락"

홍경희 기자  2006.12.06 09:12:12

기사프린트

판교 아파트의 건설사 폭리 보도에 이어, 분양 원가 구성이 엉망으로 돼 있었는데도 해당 해당 지자체가 방심해 건설사가 폭리를 취하게 했다는 지적이 나왔다.

경제정의실천시민연합은 5일 오전 서울 대학로 경실련 강당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성남시장이 승인한 판교 민간분양 아파트의 원가구성 내용을 입수해 성남시가 추후 인터넷을 통해 공고한 것과 비교한 결과 총 분양가액만 9천915억원으로 같을 뿐 구성비가 전혀 달랐다"고 밝혔다.

경실련에 따르면 지난 2월 28일 성남시의 사업승인 당시 5개 민간건설사의 총 건축비는 3천878억(평당 459만원)이었지만 4-11월 감리자 모집 공고문을 통해 공개된 건축비는 1천228억이 줄어든 2천650억원(평당 314만원)이었다.

건축비가 줄어듦에 따라 건설사들이 부담해야 하는 총 감리비용 또한 106억에서 72억으로 줄었지만 분양가는 낮아지지 않았다. 그 대신 분양비용 등 간접비는 승인 당시 278억(평당 33만원)에서 1천314억원(평당 156만원)으로 크게 늘었다.

경실련은 특히 승인 당시엔 없었던 `기타사업성 경비' 646억원이 새로 생긴데 주목하고, 이 항목이 건설업체의 이윤을 감추기 위한 것일 수 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경실련 윤순철 국장은 "사업승인권을 갖고 있는 성남시가 두 차례에 걸친 건설사의 자료제출 내역을 꼼꼼히 들여다봤더라면 문제를 발견하지 못했을 리 없다"며 "총 분양가만 같으면 된다는 식의 자치단체의 안일한 대응이 문제"라고 말했다.

하지만 성남시와 건설업계 관계자들은 판교의 경우 사업승인이나 입주자모집공고, 감리자선정 공고 때의 사업비 공개 내역의 항목(서식)이 다르다 보니 발생한 차이일 뿐 업체 이윤이 부풀려진 것은 아니라고 해명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