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 내에서 차기 대권주자로 정운찬 전 서울대 총장 카드가 부상하면서 범(汎)여권 대선판도 변화가 주목된다. 범 여권후보 가운데 선두주자인 고건 전 총리의 지지율이 정체상태를 벗어나지 못하는 상황에서 "대안을 찾아야 한다"는 위기감이 확산되면서 자연스럽게 정 전 총장의 '주가' 가 뜨고 있는 것.
최근 관심이 증폭되고 있는 정 전 서울대 총장은 "정치를 안한 다고 단언할 수는 없다"고 말해 정치참여에 한 발 다가선 가운데 '정운찬 카드' 에 대한 열린우리당 안팎의 관심이 더욱 증폭되고 있는 형국이다.
김근태 의장은 정전총장의 영입에 대해 "(대선후보로서) 역량 있고 충분히 자격이 있다. 정전총장이 결단해주면 좋은 일"이라고 말했다. 또한 두 사람은 김 의장이 경기고·서울대 상대 1년 선배인 절친한 사이다. 김 의장은 최근에도 정운찬 전 총장을 만나 향후 정치적 진로에 대해 깊숙한 얘기를 나눈 것으로 알려졌다.
범(汎)여권의 한 관계자는":이들은 이날 회동 외에도 최근 자주 만나 범여권의 정계개편 기류와 차기 대권구도에 대해 깊숙하게 논의한 것으로 알려졌다."고 전했다. 김 의장의 핵심 측근도 이런 정황에"노 코멘트"라고 말해 회동 사실을 부인하지 않았다. 또 다른 여권 관계자는"정 전 총장이 참여정부의 경제정책 실정을 언급하면서 자연스럽게 정계에 뛰어들 것으로 보인다."고 밝혔다.
최근 김 의장은'통합신당'의 구체적인 모델로'반한나라당에 동의하는 평화개혁세력의 총집결'을 제시한 바 있다. 특히 김 의장은"차기 대선에서 평화개혁세력이 승리하려면 정 전 총장과 같은 사람이 필요하다."고 자주 언급한 것으로 전해졌다.
친노 성향의 한 초선의원도 "반한나라당 연대를 위해 제3후보를 다양하게 동참시켜 오픈프라이머리를 하면 희망을 발견할 수 있다"며 환영했다. 당의 진로 문제를 놓고 격렬하게 대치하고 있는 통합 신당파와 당 사수파도 '정운찬 카드' 에 대해선 일정한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는 모습이다.
한편 범여권의 차기 대선 제3후보로는 강금실 전 법무부장관과 진대제 전 정통부장관 등 여권인사를 포함해 박원순 변호사, 문국현 유한킴벌리사장 등이 거론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