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포털 닥터아파트(www.DrApt.com)가 네티즌을 대상으로 긴급 설문조사를 했다. 20세 이상 실명인증 회원 2천3백68명을 대상으로 12월 13일부터 12월 19일까지 ‘반값아파트 공급이 주택시장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설문조사를 했다.
반값아파트 공급 실현 가능성을 묻는 질문에 60.6%가 가능성이 없다고 응답했으며 가능성이 있다는 응답은 27.7%에 불과했다.
반값아파트 공급에 대한 찬.반을 물은 결과 찬성보다는 반대의 응답이 높았다. 반대한다는 응답은 48.7%, 찬성한다는 응답은 35.6% 였다. 잘 모르겠다는 응답도 15.7%나 됐다.
반값아파트 공급 방법으로 현재 언급되고 있는 방법 가운데 지지하는 방법이 무엇이냐는 질문에 환매조건부 분양방법을 지지한다는 응답(54.3%)이 토지임대부 분양방법(45.6%) 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렇다면 반값아파트 공급에 따른 기존 아파트값의 변화를 묻는 질문에 기존 아파트값이 하락할 것이라는 응답은 14.8%에 불과했다. 오히려 상승(38.9%)하거나 보합세(39.2%)를 보일 것이라는 응답이 높았다.
반값아파트 공급이 주택시장에 미칠 영향을 묻는 질문에 기존 아파트의 희소성으로 가격 상승세가 지속될 것이라는 응답(30.0%)이 가장 높았다. 분양가 저렴으로 반값아파트의 로또화라는 응답이 17.8%로 2번째로 응답이 많았다.
다음으로 △신규 분양아파트의 질의 하락(15.2%) △기존 아파트값 상승 억제(14.9%) △민간 건설사, 사업성 악화로 아파트 시장 이탈(10.2%) △고분양 = 아파트값 상승의 악순환 고리 단절(6.8%) △수도권 무주택자 감소(4.9%) 순으로 응답했다.
반값아파트를 성공적으로 공급하기 위한 추가조치로는 현실적인 임대료 수준을 마련해야 한다는 응답이 44.2%로 가장 많았다. 다음으로 분양원가 상한선을 조기에 마련해야 한다는 응답이 20.5%, 전매 금지기간을 연장해야 한다는 응답도 20.1%를 차지했다.
닥터아파트 이영호 리서치팀장은 “이번 설문조사 결과를 볼 때 선심성 정책에 휘둘리지 않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며 “정부나 정책입안자들은 실현 가능성이 높은 정책을 마련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