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與 2.14 전대서 '대통합 추진' 합의

김부삼 기자  2006.12.28 08:12:12

기사프린트

열린우리당이 의원 워크숍을 통해 내년2월 치러지는 전당대회에서 사실상 통합신당을 추진하기로 방침을 정했다. 우리당은 27일 오후 국회에서 열린 의원 워크숍에서 "2.14 전대에서 민주평화개혁세력과 미래세력의 대통합에 나서기로 합의했다"고 우상호 대변인이 밝혔다.

우상호 대변인은 "2월 전대를 기점으로 당 진로와 관련한 모든 논란을 종식하기로 하고 토론과 결단을 통해 내부 차이를 극복하기로 했다"며 "특히 대통합을 위해 헌신과 결단의 자세로 임하며 기득권에 연연하지 않는다는 입장을 정리했다"고 말했다. 그는 이어"우리당의 낮은 지지율은 민심을 제대로 반영하지 못했기 때문이며 이 점을 뼈저리게 통감한다는데 인식을 같이하고 과거 시대로 퇴행하는 한나라당에 맞서 대오를 정비하고 민생개혁에 전념하기로 했다"고 덧붙였다.

우리당은 이를 위해 비대위 산하에 전대 준비위원회를 구성하고 당내 각 세력을 골고루 참여시켜 전대 성격과 의제 등에 대한 '정치적 합의' 를 이끌어내는데 노력하기로 했다.

하지만 2월 전대 성격과 의제 등을 둘러싼 신당파와 중도파, 사수파의 입장이 첨예하게 엇갈려 논란은 한동안 계속될 전망이다. 우리당은 이날 5시간 동안 마라톤 의원 워크숍에서는 전당대회 의제와 성격 등을 둘러싸고 각 계파들의 의견이 첨예하게 엇갈렸다. 신당파들은 전당대회에서 통합신당을 결의하고 새 지도부는 통합수임기구의 성격을 띄어야 한다는 입장을 고수했다.

'광장파'와 '처음처럼' 이 주축이 된 중도파들은 전당대회에서 정식지도부를 구성하되 새 지도부의 주요 과제는 통합작업이 되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사수파들은 정상적인 전당대회를 통해 지도부를 구성한 뒤 당을 혁신한 뒤 통합작업에 나서야 한다는 기존 방침에서 물러서지 않았지만 수(數)에서의 절대 열세를 실감해야 했다.

대통합이라는 대명제에는 동의하지만 통합의 속도와 방법에 대한 합쳐지기 어려운 난제를 푸는 과제는 전당대회 준비기구에 넘겨지게 됐다. 특히, 이번 워크숍을 통해 사수파와 신당파간의 거리뿐만 아니라 신당파와 중재파의 차이가 상당하다는 점도 극명하게 확인됐다.
신당파의 주장 이면에는 전당대회를 통해 노무현 대통령과 선을 긋겠다는 계산이 깔려있다.

하지만 중도파들은 통합을 명분으로 당을 깰 경우 대통합에 차질이 올 수 있다며 노 대통령과 사수파들을 함께 끌고 나가야 한다는 입장이다. 따라서 향후 벌어질 전당대회 성격과 의제 등에 대한 당내 논란은 중도파와 신당파간에 갈등은 더욱 증폭될 것으로 예상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