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년 인상되는 대학 등록금 때문에 학부모들의 부담이 커지고 있는 가운데 70만원대의 명품 고교 교복까지 등장했다. 최근 일부 대형 교복업체들이 최고 70만원에 달하는 고가의 교복을 출시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보수 성향의 학부모 단체인 '학교를 사랑하는 학부모 모임'(학사모)은 25일 "가격 담합 등에 따른 비난을 의식한 교복 업체들이 교복 가격을 동결하겠다는 방침을 발표했지만 지켜지지 않고 있다"며"일선학교와 교육당국이 교복값 현실화 논의에 나서지 않는다면 학교장을 직무유기로 고발하는 한편 불매운동도 벌이겠다"고 밝혔다.
학사모는 이날 오후 서울 종로구 신문동 학사모 사무실에서 기자회견을 열고"대형 유명브랜드 4개 업체(스쿨룩스, 아이비, 스마트, 엘리트)가 현재 교복 시장의 80%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그런데 이들 업체의 교복 값은 중소업체보다 10만원 가량 비싸다"며 "이런 차이에서 교복값의 거품이 드러난다"고 주장했다.
학사모는"비싼 교복도 사교육비의 일부이기 때문에 교육부는 리베이트 행위에 대해 직접적인 규제에 나서는 한편 각 학교가 교복값 결정 문제를 학교운영위원회에서 논의하는지 여부에 대해서도 철저히 관리 감독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교복업체들에 대해서도"교복도 교과서와 함께 교육의 연장"이라고 강조하면서"연예인을 기용해 상술로 학생들을 현혹시키지 말고 약속한 협의사항을 점검해 입장을 밝혀야 할 것"이라며"시정되지 않는다면 교복 불매운동과 교복 입히지 않기 운동을 병행해 나가겠다"고 밝혔다.
이에 학사모는 ▲교복 출고가 3년 동안 동결 ▲제조년월일 표시 부착 ▲재고상품 별도 판매(업체별로 최대 60%) ▲연예인 기용 과장광고 및 경품 제공 자제 ▲교복 기능에 적합한 원단사용과 디자인 고려 ▲리베이트 등을 통한 부당 이득을 사회 환원 등을 촉구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