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린우리당은 29일 오후 국회에서 중앙위원회의를 열어 '기간당원제'를 폐지하고 기초. 공로당원제를 도입하는 내용의 당헌 개정안을 통과시켰다. 이로써 내달 14일 우리당의 전당대회가 예정대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아졌고, 연쇄 탈당 움직임도 잠시 주춤할 것으로 보인다.
이날 중앙위원회에는 재적위원 63명 전원이 참석해 찬성 62명, 반대 1명으로 의결 정족수인 3분의 2를 무난하게 넘겼다. 중앙위가 '기간당원제 폐지' 를 통과시킴에 따라 내달 14일 우리당의 전당대회가 예정대로 치러질 가능성이 높아졌고, 연쇄 탈당 움직임도 잠시 주춤할 것으로 전망된다.
우리당 중앙위는 2·14 전당대회 의제와 관련, △전대에서 평화개혁미래세력의 대통합 신당을 추진하고 △새로 선출될 지도부에 대통합 신당의 방법, 절차와 관련한 포괄적 권한을 위임하며 △전대 이후 4개월간 중앙위 구성을 유예하고 이 기간 당의장, 최고위원, 국회의원, 당협 운영위원장 등으로 구성되는 연석회의에 통합수임기구 권한을 위임한다는 전대준비위 합의 내용을 만장일치로 가결했다.
김근태 의장은 이날 중앙위에서"국민이 주목하는 것은 기초당원이냐 기간당원이냐가 아니라 우리당이 책임 있는 정치세력으로서 견해차와 갈등, 대립을 넘어서는 결단과 양보를 할 수 있는 지 여부"라며 "97년과 2002년 정권교체와 정권재창출 과정에서 함께 했던 지지층을 모두 결집시킬 수 있어야 하며 그러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반(反) 한나라당 전선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중앙위의 당헌개정안 의결로 전대 낙관론이 우세하지만, 김한길 원내대표와 강봉균 정책위의장 등의 탈당 가능성도 여전히 거론되고 있어 전당대회가 정상적으로 이뤄질 지는 아직 불투명한 상황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