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시국회 개회 첫날인 5일 열린우리당 의원들의 '집단 탈당' 사태가 국회 운영위원장 선출로 불똥이 튀고 있다. 의석수 변화를 감안한 여야간 '힘겨루기' 때문이다.
국회 운영위원장은 상임위원장 중 가장 선임인 자리. 원내 제1당의 '의회 권력'을 상징하며. '여당' 의 위상을 보여주는 자리기도 하다.
현재 원내 제1당이자 여당은 열린우리당 이다. 따라서 열린우리당 원내대표가 운영위원장을 맡으면 문제될 게 없다. 지난달 31일 새 원내대표로 뽑인 장영달 의원의 몫인 셈이다. 그런데 속사정은 그렇지 않다. 국회는 이날 첫 본회의를 열고 본격적인 임시국회 일정에 들어갔지만, 이번주 중으로 예상되는 여당 의원들의 탈당 사태를 앞두고 여야의 이해 관계는 첫날부터 엇갈렸다.
당초 여야는 이날 국회 운영위원장 선거를 치르기로 했지만, 한나라당이 선거에 참여하지 않기로 결정하면서 결국 연기됐다. 열린우리당 과의 의석수 차이가 불과 여섯 석인 점을 감안, 제1당 자리가 바뀔 가능성을 염두에 둔 것으로 풀이된다.
한나라당은 이를 문제삼으며 '선거 유보' 카드를 꺼냈다. '초읽기' 에 들어간 열린우리당의 분당급 탈당 사태가 이유다.
한나라당 이병석 원내부대표는 이날 최고위원회의에서 "금명간 우리당에서 수십명의 대규모 탈당이 이뤄질 조짐"이라며 "운영위원장은 우리당 전당대회일인 14일 이후 새 교섭단체 규모 등을 보고 뽑는 게 사리에 맞다고 밝혔다. 그는 이어 "상임위원장 및 국회 특위위원장 비율, 상임위원회 의원정수에도 변동을 가할 수밖에 없다"면서 '열린우리당이 이 같은 요구를 거절하고 억지로 접근한다면 한나라당은 선거에 불참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이에 열린우리당은 즉각 발끈하고 나섰다. 장영달 원내대표는 비상대책위원 회의에서"운영위원장직은 국회 관행상 책임정치의 하나로 의석 수와 상관없이 집권 여당이 맡아왔다"면서 한나라당의 주장에 반박했다. 그는 이어 "한나라당은 탈당 조짐 등을 이유로 들었지만 다른 당의 내부 사정을 핑계로 자리 욕심을 드러낸 것에 불과하다"고 덧붙였다.
하지만 한나라당은 "열린우리당의 전당대회 이후 운영위원장 선거를 해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어, 2월 임시국회 내내 난항이 예상되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