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노무현 대통령의 취임 4주년(2월 25일)과 IMF 위기 10주년을 계기로 경제인을 주 대상으로 하고 일부 정치인을 포함한 특별사면·복권을 오는 9일 단행할 방침인 것으로 6일 알려졌다. 이를 위해 정부는 9일 세종로 정부중앙청사에서 한명숙 총리 주재로 임시 국무회의를 열어 사면·복권안을 심의, 확정할 방침이다.
청와대 윤승용 홍보수석은 이날 브리핑에서 "취임 4주년에 즈음한 사면 복권이나 사면 대상자들이 설 명절을 가족과 함께 보낼 수 있도록 하자는 인도적 고려와 대통령 해외 순방 일정(2월11∼17일) 등을 감안해 일정을 앞당겼다"며"오는 9일 사면·복권 대상자를 확정 발표하되, 법적 절차를 거쳐 12일 발효될 것"이라고 밝혔다.
경제인 사면 대상자로는 김우중 전 대우그룹 회장과 박용성 전 두산그룹 회장 등을 포함, 경제 5단체가 지난해 연말 정부에 특사를 요청한 분식회계 관련 기업인 51명이 검토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또 고병우 전 동아건설 회장, 김관수 한화국토개발 사장 등 정치자금법 위반자 8명과 박연차 태광실업 회장 등 대선 자금 관련 기업인들도 검토 대상에 올라 있다. 정치인으로는 김대중 전 대통령의 측근인 박지원 전 청와대 비서실장이 포함될 가능성이 높고, 권노갑 전 민주당 고문도 검토 대상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러나 정몽구 현대차 회장과 손길승 전 SK회장, 최태원 SK회장, 김석준 쌍용건설 회장 등은 형이 확정되지 않아 대상에 오르지 못했다.
청와대 고위관계자는"올해가 지난 97년 IMF(국제통화기금) 외환위기체제에 돌입한 지 10주년이 되는 해임을 감안해서 경제인들이 다수 포함될 것"이라며 "그러나 아직 사면·복권 대상은 최종 확정되지 않았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