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孫측 "경선 불참할 수 있다"

김부삼 기자  2007.02.24 10:02:02

기사프린트

한나라당 예비 대선주자들이 경선 시기와 방식을 놓고 신경전을 펼치고 있는 가운데 손학규 전 경기지사 측이 대선후보 경선 불참 가능성을 처음으로 언급해 한나라당은 물론 정치권에 적지 않은 파장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당 경선 준비위원회가 검증 공방이 치열해지면서 대선주자들의 이탈을 우려해 경선 후보 등록시기를 4월 중순에서 3월 말이나 4월 초로 앞당긴 것이 화근이 됐다.

손 전 지사 측 대리인 역할을 맡고 있는 정문헌 의원은 23일 국회에서 열린 한나라당 경선준비위 (국민승리위) 회의에서 기존 경선 방식과 시기를 그대로 따르자는 일부 위원들의 주장에 대해 "기존 룰을 그대로 강행한다면 불참을 고려할 수도 있다는 것이 손 전 지사의 의견이라고 보면 된다"면서 경선 불참 가능성을 내비쳤다.

정 의원은 또"주자들 사이에서 모두 인정할 수 있는 경선 룰을 만들기 위해 경준위까지 구성해 이렇게 논의를 하고 있는데, 현재 룰을 유지하자고 하면 안 된다"고 강하게 항의했다.
손 전 지사는 그동안 경선 시기를 최대한 늦추고 선거인단 구성에서도 일반 유권자의 비율을 대폭 늘리자는 등 경선 방식의 전면 수정을 요구해왔다.

손 전 지사 측은 정 의원의 발언에 대해"탈당을 염두에 둔 것이 아니라 3월10일까지 시한을 정해 놓고 현행 방식으로 경선을 밀어붙일 가능성에 대한 강력한 항의의 메시지일 뿐"이라고 정치적 확대해석을 경계했다.
그러나 당의 한 관계자는 "현행 방식대로 6월에 경선을 치르는 것으로 최종 결론이 나거나, 내달 말 또는 4월초 조기 후보등록이 가시화 될 경우, 손 전 지사로서는 탈당 밖에 달리 카드가 없을 것"이라며 "정 의원의 발언도 그런 상황을 염두에 둔 사전 포석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한편 각 진영은 경선 방식을 놓고 박근혜 전 대표 측은 현행 방식(대의원 20%, 당원 30%, 일반국민선거인단 30%, 여론조사 20%)을 선호하는 데 비해 이명박 전 서울시장 측은 당심과 민심 비율은 유지하되 국민참여폭을 넓히자는 입장이고, 손 전 지사 측은 오픈프라이머리(완전국민경선제)를 주장하고 있다.
경선 시기에 대해서도 이 전 시장 측은 현행대로 6월 경선을 주장하고 있다. 전략적 고려 없이 시기를 늦출 경우 당 분열만 커질 것이라는 명분이다. 그러나 박 전 대표 측과 손 전 지사 측은 8∼9월로 늦추자는 입장으로 후보를 미리 뽑을 경우 여권 공세에 흠집만 날 수 있다는 등의 반론을 내세우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