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DJ측, '김대중 납치 진상' 발표 촉구

김부삼 기자  2007.03.09 20:03:03

기사프린트

김대중 전 대통령이 1973년 도쿄에서 벌어진 자신의 납치사건에 대한 철저한 진상규명과 함께 한국과 일본 정부의 사과를 촉구했다. 특히 국가정보원 과거사위원회의 조속한 조사결과 발표를 촉구하고 나서 주목된다.

김 전 대통령측 최경환 비서관은 서울 마포구 동교동 김대중 도서관에서 기자간담회를 갖고 "국정원 과거사위가 출범한지 2년이 지났으나 조사대상 7개 사건 중 유독 김대중 납치사건의 조사결과만 발표하지 않고 있다"면서"납치사건의 진실이 제대로 규명되도록 과거사위 및 한국과 일본 정부가 다같이 노력해야 한다"고 밝혔다.
 
앞서 김 전 대통령은 지난달 15일 일본 <교도통신>과 회견에서"이 사건은 이미 30년 이상 지나서 현재의 한국 정부도, 일본 정부도 책임이 없는데 진상까지 발표하지 않고 숨기려는 그런 태도로 어떻게 민주국가라고 할 수 있냐"면서 "그것은 역사와 국민에 대한 배신이다"고 말했다.
 
김 전 대통령은"이번 조사 발표가 늦어지고 있는 이유가 일본 정부와 외교문제 때문이라는 이야기가 있다"면서 "일본이 세계의 지도국가, 일류국가가 되려고 한다면 인권 문제에 대해 누구라도 납득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고 일본 정부를 비판했다.
그는 또"한국도 일본도 같다고 생각한다"면서 "국정원 과거사위 위원들에게 '진상을 적당하게 발표하는 것은 참을 수 없다. 그것은 역사와 국민에 대한 배신' 이라는 입장을 이야기했다"면서 우리 정부에 대해서도 압박을 가했다.

김 전 대통령은 "한국도 그 당시 권력이 잘못된 일을 했고, 일본도 그것을 적당하게 처리했으므로 그런 과거의 잘못된 일은 적극적으로 양국 국민과 세계에 발표하고, 잘못한 것은 잘못했다고 사과하면 그만 아닌가"라고 지적했다.

한편 김대중 납치사건은 1973년 8월 8일 야당 지도자였던 김 전 대통령이 일본의 한 호텔에서 한국 정보기관원에 의해 납치됐다가 5일만에 서울에서 풀려난 사건으로 납치의 목적 및 배후 등은 공식적으로 밝혀지지 않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