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나라당 대통령후보 선출을 위한 '경선 룰' 에 대한 대선주자간 이견이 큰 상황에서 일부 대선주자들이 경선논의 불참을 선언하고 나서 당내 위기감이 고조되고 있다.
한나라당은 경선준비위원회가 경선규칙 단일중재안 마련에 실패하자 경준위 활동시한을 18일까지 연장했다. 또 경선시기와 방식을 둘러싼 이견조정이 어려울 경우에 대비해 국민과 당원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실시해 중재안 마련에 참고하기로 했다.
박근혜 전 대표가 이명박 전 서울시장을 노골적으로 비난하고, 손학규 전 경기지사와 원희룡 의원이 경선 시기와 방식을 협의하는 경선준비위 불참을 선언하는 등 위험 수위로 치닫고 있다.
손 전 지사측은 "경선준비위가 특정 주자들의 입장만 대변해왔고 이미 입장을 충분히 전달했기 때문에 더 이상 경준위에 참여하는 것은 의미가 없다"고 밝혔다.
손 전 지사의 대리인인 정문헌 의원은"경선 룰이 본선 경쟁력 있는 후보를 뽑도록 돼야 하는데 특정주자에게 유리한 쪽으로 흘러가고 있다. 9월 이후 대규모 선거인단을 구성해 대통령후보를 선출하지 않는다면 경선 참여 여부를 심각하게 고려할 수밖에 없다"며 경선 불참 가능성을 거듭 내비쳤다.
원희룡 의원도 "손 전 지사와 간접적으로 의견을 교환 중이며 문제의식은 비슷한 것 같다"면서 "경준위가 계속 이렇게 진행된다면 온 몸을 던져 모든 가능한 수단을 동원할 것이고 당이 중대 고비를 맞을 것"이라고 경고했다. 대선 주자인 고진화 의원도 경준위 시한 연장에 부정적이다.
일부 경선주자들의 불참은 경선규칙의 적정성 시비를 불러올 수 있고 이는 경선불참의 명분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당 일각에서는 범여권의 후보로 거론돼 온 손 전 지사의 경선논의 불참선언은 여권행을 염두에 둔 명분쌓기 아니냐는 분석도 나오고 있다.
이명박, 박근혜 두 주자가 경선규칙을 둘러싸고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가운데 나온 손학규 전 지사의 경선논의 불참 선언은 당내 갈등이 심상치 않은 방향으로 흘러가자 지도부는 경계령을 발동했다.
강재섭는"경준위 중재안이 당론으로 확정되지 않았는데도 이러쿵저러쿵 지나치게 비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다"고 일갈했다. 김형오 원내대표는 "주자들이 국민이 아니라 자기를 보고 정치를 하는 것 같다"고 비판했다.
한편 유기준 대변인은 브리핑을 통해 "18일까지 합의에 이르지 못하면 재연장하지 않고 국민과 당원이 5 대 5 비율로 참여하는 일정 규모의 집단을 대상으로 여론조사를 한 뒤 이 결과를 참조, 지도부가 단일안을 마련키로 했다"고 설명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