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해찬 전 총리는 21일"남북한과 한국전쟁 참전국인 미국, 중국 정상이 모여 동북아·한반도 평화 체제 구축을 위한 협상을 개시하는 것도 충분히 고려해 볼 만한 방안"이라고 말했다.
이 전 총리는 이날 국회에서'한반도 평화체제 구축의 전망과 과제' 를 주제로 열린 토론회 기조연설을 통해 "남, 북, 미, 중 4개국 정상이 한자리에서 한반도. 동북아 평화체제를 진지하게 풀어 결단할 시점이 오고 있다"면서 이 같이 말했다.
그는 이어"결단만 이뤄진다면 유럽연합에 못지 않은 공동체를 동북아에 만들어 경제협력, 평화교류 등 질적으로 도약시킬 수 있는 중요한 단계를 만들 수 있다"면서 "장관급 회담과 군사회담 등을 통해 안보의 획기적인 전환을 준비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이 전 총리의 이 같은 발언은 최근 열린우리당 동북아평화위원장 자격으로 방북한 뒤 나온 것이어서 방북성과와 무관치 않다는 관측이다.
그는 "국제적 공조란 국제사회의 흐름을 따라가기만 하는 것이 아니라 국제사회를 적극 설득하고 국제사회가 동의하는 틀을 만들어내는 것"이라며 "정부는 장관급 회담 뿐 아니라 군사회담 등 다양한 채널을 통해 북한과의 군사적 긴장 완화에 나서고 군사 현안들을 해소해 나가야 한다"고 지적했다.
이 전 총리는 특히'방북 기간중 북측 인사로부터 '노무현 대통령이 한반도에서 전쟁은 절대 안된다는 입장을 거듭 천명한 것을 보고 상당한 신뢰를 갖게 됐다' 는 이야기를 들었다"면서 "정부의 일관된 입장이 북측에 신뢰를 주고 협상장으로 나오도록 한 중요한 믿음의 근거가 되고 있다"고 말했다. 그는"북한이 모든 핵프로그램을 흔쾌히 포기하도록 다방면에 걸쳐 설득하고 지원해야 한다"면서"여기에 퍼주기와 정략이라는 불필요한 논란이 더 이상 있어서는 안된다"고 덧붙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