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김부삼 기자]국회와 현명관 한국마사회장이 10일 용산마권 장외발매소 시범운영을 둘러싸고 충돌했다. 여야의원들은 지역주민을 설득한 뒤 시범운영을 하라고 요구했지만 현 회장은 용산마권 장외발매소에 문제가 없음을 시범운영을 통해 증명하겠다며 수용 불가방침을 밝혔다.
새누리당 경대수 의원은 이날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전체회의에서“용산 장외발매소 문제가 진퇴양난인데 주민과 화합하는 가운데 추진돼야 한다”며“시범운영은 예정대로 추진하되 마사회 의견에 동참하는 분이 있으면 포기하지 말고 주민과 대화를 적극적으로 해 달라”고 요구했다.
같은당 윤명희 의원도“현 회장은 반대주민의 반대를 해결하도록 노력하는 데 치중하라”며“용산구청이 당시 허가 낼 때는 절차상 문제가 없었다는 점에서 구청이 적극적으로 해결하도록 구청에 요청하라”고 당부했다.
안효대 의원도“도박중독증은 정신병이고 중독률이 장외경마장이 가장 높다. 그래서 지역주민이 반대하는 것”이라며 “주민들을 협박할 게 아니라 힘들더라도 설득하고 평화적 방법으로 설득해야 한다. 매출의 70%가 장외발매소에서 나온다는 점에 너무 급급하면 안 된다”고 비판했다.
안덕수 의원은“주민 반대로 무산되면 앞으로 장외발매소는 어려워진다. 힘으로 하면 안 된다”며“반대하는 분과 숙식을 함께하면서 진짜 반대하는 이유를 해결하라. 그것만이 방법”이라고 충고했다.
무소속 유승우 의원은 마사회를 겨냥, “대책을 세우는 것이 아니라 국민권익위 등 기관의 지시를 무시하는 오만불손한 태도를 보였다”고 비판했다.
야당인 새정치민주연합의 유성엽 의원은 “마사회가 특수법인이고 공기업임을 인식한다면 국민권익위의 의견표명을 묵살할 수 없다”며 “사기업이라도 정부기관을 이렇게 농락할 순 없다. 국민권익위를 부정하는 발언은 공기업 회장으로서 잘못된 태도”라고 지적했다.
같은당 최규성 의원도“기존 용산역 앞자리에 개장하라. 거기는 이동인구만 있고 주민은 많지 않다”면서“(건물 세우는 데)1000억이 들었지만 용도변경해서 (매각하는 등 방법으로)활용하면 손해가 안 난다”고 대안을 제시했다.
김우남 농식품위원장은 “어제 이동필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이 (새정치연합)박영선 원내대표를 만나 방학 때까지 폐점을 한 뒤 주민과 대화한 후 방학기간 동안 시범운영하는 방안을 수락했다”며 현 회장에게 수용하라고 요구했다.
김승남 의원도“이번에 장관이 수용한 대로 방학동안 임시개장을 해서 문제점을 파악하고 마찰이 해소되면 개장하고 만약 안 되면 결단을 내려야 한다”고 충고했다.
이에 현 회장은 3개월간 시범운영을 한 뒤 주민의 의견을 물어 폐쇄여부를 결정하겠다면서 의원들의 요구를 사실상 거부했다.
그는 새정치연합의 주민투표 실시 제안을 거부했다. 현 회장은“주민투표에 관한 법을 봤지만 법상 주민투표 해당사항이 아니라는 해석을 했다”며 “용산장외발매소를 3개월 동안 해보니 문제가 있다는 사실을 갖고 찬성과 반대를 해야 하는데 상상과 추측만으로 주민투표를 해선 안 된다”고 주장했다.
현 회장은 또 “용산은 30여개 장외지사 중에 가장 주민친화적이다. 6개층을 주민에게 제공할 것”이라며 “결국은 마사회의 이미지 때문에 주민이 반대하는 것이므로 3개월만 정상운영해서 만약 문제가 있으면 문을 닫겠다”고 말했다.
그는 이동필 장관과 새정치연합 간 합의에 관해선 “방학기간 동안만 운영한다고 해서 주민에게 새로운 형태의 장외발매소를 인식시킬 수 있을지 의문이다. 주민에게 제대로 알려 판단하게 해야 한다”며 거부의사를 밝혔다.
현 회장은 권익위의 의견표명에는 “권익위의 의견표명 상 팩트와 법 안정성에 문제가 있어서 안 되겠다고 한 것”이라며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그는 용산장외발매소 앞 반대대책위 주민들을 겨냥, “우리 직원들이 들어가려는데 신분증을 보여 달라고 하고 못 들어가게 하고 고객들과 몸싸움을 하는 게 법치주의 하에서 정당화된다면 어떻게 되겠느냐”고 비난하며 “반대대책위 주민에게 대화를 제의했고 회동도 있으리라 생각한다. 갈등조정센터 전문가를 통해 문제를 해소하겠다”고 대응방침을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