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덕수 총리 후보 재산신고 누락 의혹

김부삼 기자  2007.03.28 09:03:03

기사프린트

한덕수 국무총리 후보자가 관보를 통해 공개한 재산 중 2억9000여만원의 출처가 불분명하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참여연대 행정감시센터는 27일 한덕수 총리 후보자의 신고 재산에서 공직을 떠나 있던 2002년 11월∼2004년 3월에 증가한 재산 중 2억9000여만원의 출처가 불분명하다며 철저한 검증을 촉구했다.
참여연대 관계자는"한 후보자가 청와대 경제수석비서관에서 퇴직한 2002년 관보를 통해 공개한 재산과 2004년 3월 국무조정실장으로 복귀할 때의 재산을 비교하면 2002년과 2004년 사이 모두 5억2660여만원의 재산이 늘어났다"고 밝혔다. 그러나 실제 부동산 증가분과 국세청에 신고한 수입 등 소득 증가분 총액은 2억3424만원에 불과해 2억9236만원의 재산 증가 과정이 밝혀지지 않았다는 게 참여연대 주장이다.
이 관계자는"한 후보자가 2002년 11월부터 2004년 2월까지 1년6개월여간 K로펌 고문과 산업연구원 원장으로 활동했다"며 "신고 재산 내역을 볼 때 이 활동을 통한 소득 외에 다른 소득 내역을 찾아볼 수 없다"고 강조했다.
이에 총리실은 보도자료를 통해 "한 후보자는 2001년 12월31일 기준으로 재산변동 신고를 하면서 배우자의 예금 5247만원이 누락돼 추후 보완신고를 했지만 관보에서 누락됐고, 2002년 11월∼2004년 3월 퇴직수당 7600만원, 연금 수령액 5600만원(19개월분), 이자소득 1억800만원, K로펌과 산업연구원 재직 시 비과세 소득 2050만원 등 총 2억6050만원의 수입이 있었는데 참여연대는 이를 감안하지 않았다"고 해명했다.
한편 오는 29~30일 열릴 한 총리 후보자의 인사청문회는 사실상 '자유무역협정(FTA) 청문회'가 될 전망이다.
한 후보자가 대통령 직속 '한미 FTA 체결지원위원장' 을 맡고 있는 데다 청문회 일정도 FTA 고위급 협상 타결 시한(31일 오전 7시)과 겹쳤다. 한 후보자가 넘어야 할 산은 만만찮다. 협상 타결 시한이 다가오며 정치권의 반FTA 진영이 잔뜩 날을 세우고 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