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사뉴스 유한태 기자]야당이 21일 세월호 침몰사고 국정조사 특별위원회 위원장인 새누리당 심재철 의원의 모바일메신저 글을 문제 삼으며 위원장직은 물론 의원직 사퇴를 요구했다. 이에 심 의원은 정치공세라며 반박했다.
새정치민주연합 안철수 공동대표는 이날 오전 경기 수원에서 최고위원회의를 열고 "세월호 참사 국정조사특위 위원장을 맡고 있는 심재철 의원은 특별법 제정을 반대하는 목소리를 지인들에게 전송했다"며 "성역없는 진상조사를 막고 있는 사람이 세월호 특위 위원장을 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같은당 유은혜 원내대변인은 현안논평에서 "검찰과 경찰은 유언비어를 날조하고 유포하는 심재철 위원장을 즉각 수사하고, 그에 합당하게 처벌하라"며 "심 위원장은 국조특위 위원장직에서 물러나고 국회의원직을 사퇴하라. 새누리당은 당장 무자격 의원을 세월호 특위에 임명한 것을 사과하고 위원장을 교체하라"고 요구했다.
통합진보당 홍성규 대변인도 논평에서 "당 차원의 의견수렴이라고 분명히 밝힌 만큼 새누리당은 당 차원의 해명 및 심재철 의원의 사퇴를 포함한 납득할 만한 조치가 즉각 뒤따라야 한다"고 요구했다.
정의당 박원석 대변인도 논평에서 심 의원을 겨냥, "마치 총리 후보자에서 낙마한 문창극씨가 반민족적 과거 발언내용에 대해 '자신의 말이 아니라 윤치호의 글을 인용한 것'이라고 발뺌했던 것에 비견할 만하다"고 비판하며 "심 의원은 즉각 의원직을 사퇴하고 유족들과 국민들 앞에 석고대죄하라"고 요구했다.
이에 심 의원은 야당의 주장을 반박했다.
심 의원은 이날 보도자료에서 "7월19일 나는 '세월호 특별법 일부 내용의 문제점을 지적한 인터넷 글'을 법안 관련 여론 수렴을 위해 몇 분께 보낸 바 있다"며 "해당 글은 세월특별법을 통해 희생자분들을 의사자로 지정해 순국 용사보다 훨씬 더 큰 혜택을 주는 것은 문제가 있다고 주장하는 글이었다"고 해명했다.
그는 "그 글은 내가 쓴 글도 아니고 6월부터 인터넷상에 올라와 있던 글이었다"며 "국민의 소리를 좀 더 정확하게 입법과정에 반영하기 위해 법안 검토 과정에서 세월특별법 희생자분들을 의사자로 지정하는 것과 관련해 국민적 여론을 파악하기 위해 관련 몇분께 카톡을 보낸 것"이라고 강조했다.
심 의원은 또 "해당 글과 별도로 제 개인적인 견해와는 다를 수 있으니 오해하지 말라는 내용을 첨언했을 뿐 어떤 찬반 의사도 덧붙이지 않았다"고 말했다.
그는 야당을 겨냥, "국민의 뜻을 받들기 위한 여론 소통과정이었음에도 몇분에게 보낸 비공개 카톡내용을 공개해 비난하는 행위는 정치공세일 뿐"이라며 "마땅한 입법활동 영역을 무분별하게 파헤치며 여론을 호도하며 위원장을 사퇴하라는 야당의 주장은 어떻게든 세월호 사건을 7·30 재보궐선거에 이용하려는 구태적 정치행위"라고 비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