軍, "장병들이 혐오스럽냐?"… '불쾌'
민선 4기 경기도정 출범 초기, 서울-경기-인천을 잇는 대수도론을 주장하며 충청권과 마찰을 빚어온 김문수 경기지사가 이번엔 군의 심기를 건드려 파문을 일으키고 있다.
거대기업 삼성에 대해서는 "삼성을 뒷받침하는 게 공직의 책무다"라고 말한 그가 나라를 지키는 군 시설은 '혐오시설'이라고 발언,군의 집단 반발 분위기와 함께 논란이 확산되고 있는 것. 김 지사는 과거 도지사 선거과정에서 전업주부들을 '노는 아줌마'로 표현, 곤혹을 치르는 등 직선적이고 도발적인 언어구사로 문제를 일으켰다.
발언의 진앙은 지난 20일 오전 경기중소기업지원센터에서 열린 기우회 조찬모임. 김 지사는 인사말을 통해 "경기도에서는 중앙정부가 일방적으로 자치단체와 아무 상의도 없이 혐오시설이라고 할 수 있는 군사시설을 받으라 하고 모든 시민이 원하는 하이닉스는 안된다고 하는 것에 반대한다"며 "지자체의 계획을 무시한 채 일방적으로 정책 결정을 할거라면 아예 지방자치제도를 없애라"고 정부를 겨냥했다.
김 지사는 "정부는 이천시 전체 면적의 5%인 689만평에 이미 15개의 군부대가 자리하고 있는데도 불구, 추가로 123만평에 특전사령부를 이전키로 결정했다"며 "그러나 이전할 한 부지는 웅진에서 100만평 규모로 어린이 테마파크를 조성하기 위해 설계를 하고 있는 곳으로 정부 발표로 시민들이 상처받고 괴로워하고 있다"고 강조했다.
특히 김 지사는 "지방자치라는 것은 지방주민들이 자기지역의 발전과 삶을 책임지게 하는 것인데 지금은 지방자치라고 말하면서 지방자치는 없다"며 "중앙에서 불행만 도민들에게 주고 행복은 막으면 어떻게 하느냐"고 강한 불만을 나타냈다.
또 "모든 시민이 원하는 하이닉스는 안된다면서 군사시설은 받으라 하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하이닉스에서 나오는 구리 양보다도 특전사 6700명의 군인이 와서 팔당호를 오염시키는 것이 더 심각하다"고 덧붙였다.
◆'군부대가 혐오시설이라니?'
김 지사의 발언이 언론을 통해 보도되면서 군 내부는 한주간 술렁였다. 급기야 김장수 국방장관은 27일 김 지사가 특전사를 '혐오시설'로 표현한데 대해 "국민의 자식들이 혐오시설에 살고 있는지 상당히 유감"이라고 유감을 표명한 것.
군 내부에서는 전체적으로 이해할 수 없다는 반응을 보이면서 "지사가 그런 표현을 했다면 그것은 이해할 수 없는 표현이다. 국방부는 물론, 일부 야전에서도 이 발언 내용에 대해 상당히 실망스러운 표현으로 인식하고 있는 것이 사실이다"라고 웅성였다.
군 한 관계자는 "특히 특전사 이전과 관련해서 혐오시설로 표현했다면 더더욱 유감이 아닐 수 없고, 숭고한 국방의무를 수행하는 장병들은 국민의 자제이며 특전사는 국민의 군대"라며 "장병들이 혐오스럽다는 것인지 군의 임무나 시설 자체가 혐오스럽다는 것인지 묻고 싶다"고 했다.
육군 위관급 장교는 "군부대가 혐오 시설이라면 대한민국 남성들은 모두 혐오시설에 다녀온 것인데 한마디로 말도 안되는 소리"라며 "군이 국가를 지키고 있기 때문에 나라도 존재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혐오시설 운운할 수는 없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도권 군사시설 이전 업무를 담당하는 한 직원도 "정부의 부동산 정책에 의해 현재의 군부대를 불가피하게 이전하게 된 것인데 이전지에서 반대한다면 군부대가 어디에도 갈 곳이 없게 되는 상황"이라며 "아파트를 지어달라는 것도 아니고 군의 필수 시설을 짓는데 혐오시설이라고 하면 너무 억울하다"고 말했다.
경기도 주민들도 "남과북이 접경하고 있는 경기도의 지리적 특수성을 감안할 때 도지사가 군대시설을 혐오시설로 취급하는 것은 크게 잘못됐다"며 "김 지사의 말대로라면 60만에 이르는 젊은 군장병들이 혐오시설에서 생활하고 있다는 말이 되는 것 아니냐"고 반문했다. 이와 관련, 김 지사는 25일 "주민들이 혐오한다는 이야기"라며 자신의 발언에 대한 긴급진화에 나섰지만 논란을 잠재우기에 여의치 않은 상황이다.<자세한 내용은 시사뉴스 (통권306호) 에서 볼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