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정 통일부 장관은 18일 "(북한 철도의 현대화 비용에) 얼마의 액수가 들어가든 우리의 경제적 이익을 위한 투자의 개념"이라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날 SBS라디오와의 인터뷰에서"(현대화 비용은) 전문가에 따라 폭이 커서 말하기 어렵다"며"국제사회가 같이 개발자금을 투입하거나 차관으로 하는 방법으로 해야지, 우리 힘만으로는 어렵다"며 이같이 말했다.
이 장관은 또 "북측 경원선은 무리지만 경의선은 속도에 문제는 있으나 개성∼신의주 구간이 현재 사용 중이어서 당장 사용에 문제가 없다"며 "대륙철도가 먼저 중국과 연결되면 엄청난 무역량을 수용하는 데 유용할 것"이라고 덧붙였다.
그는 개통을 위한 군사보장은 "제5차 남북장성급군사회담에서 북측도 시범운행을 열차 개통을 전제로 해야 한다는 점에 인식을 같이했다"며 "그것(군사보장)은 단계별로 해나가는 것이지 한꺼번에 하는 것은 아니다고 얘기했다"고 소개했다.
이 장관은 남북정상회담과 관련, "2.13 합의가 이행되고 여러 상황이 되어서 정상회담의 확실한 의제가 마련되면 북측도 긍정적으로 생각하게 될 것"이라며 "현재 정부로선 구체적인 계획이 없다"고 밝혔다.
이 장관은 이어 CBS라디오에 출연, 철도 개통을 위한 군사보장 문제에 대해 "북측도 이익 관점에서 보면 군부가 반대할 이유가 없다"며 "상시적 군사보장을 협의하기로 약속돼 있고 오는 7월에 장성급 군사회담이 열릴 예정이지만 큰 문제가 없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그는 또 철도의 단계적 개통 계획과 관련,"경공업 원자재가 북으로 가고 지하자원을 가져오려면 철도가 유리하다"고 말해 올해 8,000만달러 상당의 대북 원자재 북송에 열차를 활용하겠다는 뜻을 내비쳤다
이 장관은"북측도 철도 개통의 구체적 계획을 갖고 있을 것"이라며 "(오는 29일 열리는) 제21차 남북장관급회담에서 철도 개통 문제를 논의하겠다"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