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Z EZViwe

한나라 '검증판도라 상자' 열릴까?

김부삼 기자  2007.06.21 10:06:06

기사프린트

한나라당 대선 주자들에 대한 재산은닉, 횡령, 접대, 거짓말, 추문 의혹 등이 담긴 '검증판도라의 상자'가 열릴 것인가.
한나라당 대선후보 국민검증위원회가 21일 당내 대선후보와 관련된 검증 제보를 마감하고 본격적인 검증 작업에 돌입한다. 지난 3주 동안 검증위가 받은 제보는 마감을 하루 앞둔 20일 현재 57건으로, 모두 경선후보 '빅2'인 이명박 전 서울시장의 재산 은닉 의혹과 박근혜 전 대표의 정수장학회 의혹 등이 포함됐다. 검증위는 22일 제출된 내용들에 대한 검증 결과를 중간 발표할 예정이다.
검증위는 일단 다음달 10~12일 후보 청문회에 앞서 검증작업을 마무리한다는 방침이지만 실질적으로 검증이 가능한 기간이 20여일밖에 남지 않아 기한 내에 제대로 된 검증을 하는 것은 쉽지 않을 것이라는 우려가 있다. 특히 검증 공방 자제 요청과 엄정한 검증 요구가 엇갈리는 가운데 과연 '제살 도려내기'가 가능하겠느냐는 의심의 눈초리도 강하다. 범여권 주자들은 검증의 도마위에 오르지 않았는데, 왜 한나라당만 부정적 이미지를 먼저 뒤집어쓰느냐는 주장도 만만찮기 때문이다.
이주호 검증위 간사는"중복되는 자료가 많은 만큼 기간 내에 최대한 검증을 마치도록 노력할 것"이라며"매주 화, 목요일 회의를 통해 검증대상을 정한 뒤 조사팀이 조용히 조사를 진행하고 있다"고 말했다. 또다른 검증위 관계자는"내용적으로 비슷한 건이 너무 많아 얼마나 영역화하느냐에 따라 검증건수는 크게 줄어든다"며 "신속한 처리를 위해 제보가 들어오는 대로 분류작업을 해왔으며, 각 후보 캠프에 제기된 의혹들에 대한 소명자료를 요청했다"고 설명했다.
한편 강재섭 대표는 "국민검증위에서 철저하게 검증할 것이다. 후보측은 검증위를 믿고 후보끼리 싸우고 자해하는 행위를 자제할 것을 다시 한번 촉구한다"면서"내 육감에 이런 식으로 계속 가면 몇명이 금명간 엄한 경고를 받게 되고 정치적 타격을 입게 된다"고 경고했다. 지난달 23일 출범한 국민검증위(위원장 안강민)는 각계각층의 9명의 위원들로 구성됐으며, 각각 8명씩의 실무 외부전문가와 당 업무지원반 인사들이 참여하고 있다.